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7
칠
d라이브러리
"
일곱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반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M 45황소자리 어깨부분에 위치한 플레이아데스 성단.
일곱
자매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에 좀생이별이라 불렀다. 밤하늘에서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산개 성단이다. 보통 시력의 맨눈으로 보면 작은 국자처럼 배열된 6개의 별이 보인다. 플레이아데스의 ... ...
화학- 기름·물 모두 친한 알칼리대명사 비누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염과 순수한 알칼리, 두루미의 지방과 함께 갈아 여기에 추가한다. 환자의 몸을 그것으로
일곱
번 문지른다.'알칼리는 아랍어로 '냄비에서 태운다'는 뜻이다. 당시 아랍인들은 해초(海草)를 태워서 얻은 재를 물에 녹여낸 것을 알칼리라고 불렀다. 따라서 알칼리는 식물의 재중에서 물에 잘 녹는 ... ...
일부다처제사회에서는 딸이 많이 태어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성비 0.466을 기록하고 있다. 일부일처인가 일부다처인가에 따른 2세의 성비 차이는
일곱
부족 모두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이에 대한 그의 설명은 모체의 생리주기가 배란기나 그 전후에 있을 때 임신되는 태아는 다른 때보다 딸이 될 확률이 조금 더 높다는 가설에 바탕하고 있다.이 가설은 다른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인식)인 고성능 카메라와 감마선분광계 적외선측정기 레이저고도계 자기측정계 등
일곱
종의 관측기기를 탑재하고 있다. 이 탐사선이 화성에 도착하기까지는 약 11개월이 걸린다. 마르스옵서버가 돌 화성궤도는 화성의 양극을 지나는 극궤도 처음에는 긴 타원궤도에 진입해 서서히 타원궤도를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분포하고 있다. 질소나 산소 아르곤에 비하면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미량(소수점 아래
일곱
자리까지 가는 %에 불과). 그렇지만 오존의 역할은 우리가 상상 하는 것 이상이다.우선 대류권(약 15㎞ 상공 이내)에 전체 오존량의 10% 가 존재한다. 지표면에 가까운 대류권의 오존량은 적을수록 좋다. 그 ... ...
지구상의 마지막 원시부족 힘바족의 고향 나미비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사회구조에 있는바 부계 및 모계 양쪽의 혈연으로 얽혀 있다. 출생에 의해서 모계
일곱
지파의 한쪽에 속하게 되는데, 이는 신분상 아주 중요한 것이다. 모계는 생산수단, 즉 가축떼의 소유권 행사와 직결돼 있으며, 부계는 일상 생활의 터부, 즉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정신적인 영역의 생활기준을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빛을 내지 못한다. 쉽게 말하자면 태양광이나 백열전구는 프리즘을 통해 분리해보면
일곱
가지(빨 주 노 초 파 남 보)색의 분리가 일어나는데 수은등이나 나트륨등은 분리해보면 일정파장대에만 띠를 이루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따라서 그 띠를 이루는 부분을 차단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 ...
일곱
난쟁이의 우유나누기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결과는 똑같은 상태가 한 난쟁이만큼 돌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것을
일곱
번 반복하면 원래 그대로 돌아오게 된다. 이런 유추법에서는 이 해답이 유일한(unique) 해답이라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 다음의 필요한 단계다. 약간의 수학을 사용하면 유일한 답임을 증명할 수 있다 ... ...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일곱
번 담근 후, 질그룻에 한참 담아 두었다가 식혀서 먹어야 한다.'뜨거운 구리조각을
일곱
번 담그는 것이 좀 이상하기는 하지만 살균과 침전을 거치는 과정은 지금의 과학적인 지식으로 보아도 아주 그럴 듯한 정수과정이다. 염소처리로 병원성 미생물을 없앤 수돗물을 먹게 된 요즈음에는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갖게 되었다면 물리학자들이 틀린 것일 수도 있다고 추측했다.그는 죽은 지 얼마 안된
일곱
사람으로부터 뇌조직을 떼어내 테프론으로 코팅된 기구로 세포들을 분리했다. 이 샘플중 일부는 얼린 다음 자장측정을 했다. 그 결과, 자장과 강하게 반응하는 강자성 광물이 있다는 확실한 증거를 얻었다.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