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구동토 속에 좀비 생명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살던 선충을 살려냈어요. 연구팀은 수십m 아래의 영구동토에서 채취한 300개의 시료를 연구실에서 녹여 영양분을 공급했어요. 그러자 그중 2개의 시료에서 선충이 살아났지요.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이 사실을 발표하며 “이 선충을 연구하면 냉동보존 의학, 우주과학에 중요한 발견을 할 수 있을 ... ...
                            
 
                        
                        
                                            
                                                            
                                                             - 수학으로 다시 쓰는 고고학, 아라가야에 숨겨진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조사부 팀장), 조명래(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조사부 과장), 강동석(문화재청 고고연구실 학예연구관), 김장석(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김범철(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참고자료 강동석 ‘아라가야 國의 공간구조’,이지웅 외 2명 ‘드론측량의 개요 및 활용’, 이경주 외 3명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된다고. 예경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가 이끄는 단백질공학연구실에서는 항체가 사람보다 귀한 대접을 받고 있었다.   항체 치료제가 전부 길항제인 이유예 교수팀은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항체 치료제는 길항제(antagonist)다. 길항제는 항체를 이용해 ... ...
                            
 
                        
                        
                                            
                                                            
                                                             - 위치 정보로 과거의 사건을 재구성 하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1. 아라가야에는 막강한 영향력을 떨치는 정치가가 있었다?강동석 문화재청 고고연구실 학예연구관은 비용- 배분 분석을 이용해 아라가야의 정치 체계를 추정했어요. 분석 결과 아라가야인은 말이산고분군을 중심 으로 몇몇 지역에서 작은 공동체를 이루고 있었어요.과거 작은 공동체가 여럿 ... ...
                            
 
                        
                        
                                            
                                                            
                                                             - 꾸준히 노력하는 수학자, 서울대 서인석 교수 인터뷰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그런 마음에서 정장을 입고 다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 교수는 매일 9시에 연구실에 출근해 일과를 시작한다. 퇴근 시간은 유동적이지만 아무리 늦어도 12시에는 잠자리에 들려고 한다. ‘수학자는 맑은 정신이 가장 중요하다’는 그의 생각 때문이다.많은 수학자가 문제가 풀릴 것 같다는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e메일 연구를 진행했는데, 이때까지도 구글 창업자가 스탠퍼드대 출신이라는 것과 이 연구실에서 구글이 시작됐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다.   MS에선 인턴십, 구글에선 엔지니어로MS 인턴십을 포함해 여러 경험을 하면서 빨리 기업에서 일을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강해졌다. 학부만 졸업하고 바로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DNA 복제에 관여하는 효소 및 단백질 연구를 하는 톰 캘리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의 연구실이었습니다. 그리고 단백질 분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무사히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협력이 가능하면 어떤 분야에 한정되거나 기술에 대한 제약이 없어집니다. 특히 요즘처럼 연구기법들이 빠르게 ... ...
                            
 
                        
                        
                                            
                                                            
                                                             - [일본유학일기] 오타쿠의 성지로 유학 간 성공한 덕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온라인’인데, 가상현실 온라인 게임을 소재로 삼았다. 그래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연구실이 있는 전자정보공학부로 전공을 정했다. 그렇게 벌써 도쿄대 전자정보공학부에서 3년째 공부하고 있다.아쉽게도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생 선발 프로그램은 2018년 20기를 마지막으로 폐지됐다. 하지만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밟을 때였다. 이후 2007년부터 4년간 토마스 쥐트호프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는데, 쥐트호프 교수가 이 분야 최고 권위자였기 때문이다. 쥐트호프 교수는 신경세포 내에서 신경 접착 단백질 등의 분자가 다양한 물질 수송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밝혀낸 공로로 201 ...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2030년 1월 1일 좀비 바이러스가 전세계를 삼켰다. 좀비 바이러스의 청정지역은 서울시 용산구뿐! 이대로 인류는 사라지고 말 것인가? 그때 무덤에서 10년 전 수학자들이 작성한 파일이 담긴 스마트폰을 발견했다. 파일명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