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로 갔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무중력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고, 서식지를 적극적으로 탐색했어요. 또, 이들은 지구의 연구실에 남아있는 다른 쥐들과 비교했을 때 몸무게가 거의 비슷하고 털 상태도 양호해 매우 건강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쥐들은 인간처럼 사육장 벽을 밀어내며 움직이고 싶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된다고. 예경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가 이끄는 단백질공학연구실에서는 항체가 사람보다 귀한 대접을 받고 있었다. 항체 치료제가 전부 길항제인 이유예 교수팀은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항체 치료제는 길항제(antagonist)다. 길항제는 항체를 이용해 ... ...
- 꾸준히 노력하는 수학자, 서울대 서인석 교수 인터뷰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그런 마음에서 정장을 입고 다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 교수는 매일 9시에 연구실에 출근해 일과를 시작한다. 퇴근 시간은 유동적이지만 아무리 늦어도 12시에는 잠자리에 들려고 한다. ‘수학자는 맑은 정신이 가장 중요하다’는 그의 생각 때문이다.많은 수학자가 문제가 풀릴 것 같다는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통과하고, 다른 편에 있는 자기장에 의해 다시 광자로 변한다. 쉽게 말해 액시온을 연구실에서 발생시켜 벽 넘어 반짝임을 감지하는 실험이다. DESY의 알프스(ALPS·Any Light Particles Search) 실험이 대표적인 사례고, 현재 알프스 2(ALPS II)로 업그레이드가 진행 중이다. 위상절연체로 액시온 구현 ... ...
- 수학으로 다시 쓰는 고고학, 아라가야에 숨겨진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조사부 팀장), 조명래(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조사부 과장), 강동석(문화재청 고고연구실 학예연구관), 김장석(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김범철(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참고자료 강동석 ‘아라가야 國의 공간구조’,이지웅 외 2명 ‘드론측량의 개요 및 활용’, 이경주 외 3명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3. 인간 돕는 웨어러블 로봇 ‘철컥, 척, 철컥, 척.’로봇이 움직이는 육중한 소리가 연구실 문밖까지 새어 나왔다. 2020년 5월 스위스에서 열리는 ‘제2회 사이배슬론’ 대회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워크온 슈트(WalkON Suit)’가 내는 소리였다. 사이배슬론은 신체 일부가 불편한 장애인들이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밟을 때였다. 이후 2007년부터 4년간 토마스 쥐트호프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는데, 쥐트호프 교수가 이 분야 최고 권위자였기 때문이다. 쥐트호프 교수는 신경세포 내에서 신경 접착 단백질 등의 분자가 다양한 물질 수송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밝혀낸 공로로 201 ...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2030년 1월 1일 좀비 바이러스가 전세계를 삼켰다. 좀비 바이러스의 청정지역은 서울시 용산구뿐! 이대로 인류는 사라지고 말 것인가? 그때 무덤에서 10년 전 수학자들이 작성한 파일이 담긴 스마트폰을 발견했다. 파일명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 ...
- 작은 세계에선 나지! 마이크로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상상, 안 해본 사람 없겠죠? 손재주 없는 의사도 ‘명의’ 만들어준다12월 10일 연구실에서 만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봇공학과 최홍수 교수는 마이크로로봇을 왜 만드냐는 질문에 대뜸 영화를 보여줬어요. 1966년에 나온 는 의사가 탄 잠수함을 축소해 환자의 혈관에 넣고 ... ...
- [일본유학일기] 오타쿠의 성지로 유학 간 성공한 덕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온라인’인데, 가상현실 온라인 게임을 소재로 삼았다. 그래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연구실이 있는 전자정보공학부로 전공을 정했다. 그렇게 벌써 도쿄대 전자정보공학부에서 3년째 공부하고 있다.아쉽게도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생 선발 프로그램은 2018년 20기를 마지막으로 폐지됐다. 하지만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