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엔진"(으)로 총 1,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오빠랑, 홍대, 떡볶이, 맛집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오빠랑’을 추가하는 거였는데….“여기에 ‘서울 떡볶이 맛집’이라고 입력하면 검색엔진이 수많은 블로그에서 이 단어들을 추출해 줘. ‘텍스트마이닝’이란 기법이야.” “일반 포털 검색이랑 뭐가 달라?” “블로그계의 맛집을 귀신같이 알아내는 오피니언 리더들을 미리 선별한 다음, 그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있었다. MSFC-398이라는 알루미늄계 고강도 경량합금은 고온에서 강도가 탁월해 우주선의 엔진 부품으로 이용됐다. 이 재료는 곧바로 터널 건설업자들의 눈에 들었다. 만약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와 유독가스를 빠른 시간에 제거해야 한다. 선풍기로 연기를 날리듯, 공기순환용 팬이 그 ... ...
- [과학뉴스] 스페이스 X, 로켓재활용 첫 시도 X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계획을 세웠다. 1단 로켓은 80km 상공에서 상부와 분리된 뒤 시속 4600km로 추락하는데, 이때 엔진을 가동해 속도를 시속 7.2km까지 줄이는 게 관건이었다.스페이스X사는 1월 10일 발사한 로켓에서 1단을 분리해 착륙대로 이끄는 것은 성공했지만, 너무 강하게 떨어져 부서졌다고 밝혔다. 스페이스X의 CEO인 ... ...
- [참여] 현대 모터스튜디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볼 수도 있었다. 독자기자단의 눈빛이 반짝였다. 그런데 이어진 유 구루의 한마디.“실제 엔진이 달린 차량이기 때문에 안전상 문제로 만 15세 이상이 돼야 운전석에 앉을 수 있답니다. 대신 조수석이나 뒷좌석에는 마음껏 앉아도 괜찮아요.”아쉬운 기색을 뒤로 하고 기자단은 저마다 자동차에 ... ...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히어로 슈트’만 입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최첨단 슈트에는 하늘을 날 수 있는 로켓 엔진은 물론, 로켓 주먹도 달려 있다. 무려 453kg까지 들 수 있는 능력이 생기며, 무술도 소림사 고수 수준이다.이제는 소프트로봇 시대!베이맥스는 동그란 얼굴에 거대한 몸집이지만, 몸무게는 34kg에 불과하다. ... ...
- [과학뉴스] 아마존 지키는 구글맵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전망이다.구글은 아이마존에서 영감을 얻어 ‘구글어스 엔진’을 만들었다. 구글어스 엔진은 위성이 40년 동안 모은 1억 장이 넘는 사진을 이용해 지구가 어떻게 변했는지를 살펴보고 미래를 예측한다. 예를 들어 공해상에서 이뤄지는 불법 포획을 잡거나 말라리아 전파 경로를 예측하고, 수면 ... ...
- [Knowledg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훨씬 싼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시스템 구축한다국내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2013년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을 13개 산업엔진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총 1862억 원을 투입해 대구시에 10MW급 실증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추진단을 이끌고 있는 염충섭 고등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대한전기협회 ... ...
- 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뜰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등지에서 마하5~7을 달성했고, 기존 터빈 엔진보다 성능이 좋은 다양한 하이브리드 엔진도 개발되고 있다. 이 같은 혁신적인 도전이 서울-뉴욕 비행시간을 3시간으로 돌려놓을지 지켜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차세대 친환경 비행기Part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 ...
- [과학뉴스]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 발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공학 부문 수상자인 임 교수는 차세대 인터넷 통신망 장비의 핵심 부품인 패킷 전달 칩(엔진)의 고속화를 위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조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진흥 부문 수상자인 유 연구원은 2012년부터 ‘아시아태평양 여성과학기술인네트워크(APNN)’ 의장을 맡아 아태지역 ...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터보제트(시속 980km)의 절반 수준인 시속 500km 정도로 비행할 수밖에 없었죠. 개방형 엔진이 아직 실용화되지 못한 것도 이런 문제 때문입니다. 다행히 이제는 감속기어로 회전속도를 낮춰 프로펠러를 훨씬 길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똑같이 날면서 연료 소비량을 줄이려면? 날개 키우고 접어 양력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