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설"(으)로 총 1,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말지요. ‘WoW!’에 나타난 세계는 1884년에 영국에서 태어난 신학자 에드윈 애보트가 쓴 소설 ‘플랫랜드’의 설정과 닮았습니다. 애보트는 2차원 세계 ‘플랫랜드’에 살던 사각형이 1차원 세계인 ‘라인랜드’와 3차원 세계인 ‘스페이스랜드’로 떠나는 모험을 그렸습니다. 사각형은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싸움은 치열했지만, 애초에 경비로봇의 수가 부족했다. 연구원들은 이미 어디론가 도망갔는지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 하림을 뺀 다른 아이들도 조우진을 따라 전부 도망친 뒤였다. 하림은 그 뒤를 따라가는 척하다가 슬쩍 빠져나와 안전한 곳에 몸을 숨기고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경비로봇은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좋아하던 스포츠 스타들도, 영화배우들도, 가수들도 모조리 살아 있고, 만화가나 소설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저도요. 또 제 친구들이나 가족들도. 물론 싫어하는 인간들도 여전히 멀쩡하게 살아있어서 세상이 점점 좋아졌다고까지는 할 수 없지만, 선생님도 아시지 않습니까. 아름다운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다가온 위기!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전화를 끊은 조우진은 애써 침착한 표정을 유지하며 아이들을 향해 말했다.“저, 여러분, 한창 재미있는데, 나쁜 소식을 전하게 되어 미안해요. 견학을 잠시 중단해야 할 것 같아요. 모두 여기서 나가서 잠시 대기하겠습니다.” 아이들이 웅성거렸다. 한 아이가 손을 들고 물었다.“갑자기 왜요?” ... ...
- 자동완성으로 보는 너에게 수학이란?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검색 엔진이 참고하는 자료 중 하나는 각 나라 언어의 말뭉치 데이터예요. 말뭉치는 소설이나 기사, 드라마 대본 등에서 학 다음에 무엇이 나올지 확률을 이용해 정리한 거대한 언어 정보입니다. 쉽게 말해, ‘학 뒤에 교가 나올 확률이 70%, 규가 나올 확률이 10%다’라는 데이터를 갖고 있는 것이지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학교를 다닌 이래로 시험을 보고 그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초조해본 적이 없었다. 이번만은 달랐다. 하림은 발표가 나기까지 일주일 동안 초조해서 견딜 수가 없었다. 발표 예정 시각 10분 전부터 하림은 방 안에서 혼자 게시판을 새로고침하고 있었다. ‘입상을 못 했으면 어떡하지? 모든 게 끝장 ...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박사: 소설의 소재가 다양해지는 것은 반가운 일이에요. 수학자나 수학적인 내용을 담은 소설이나 만화, 영화 등이 계속해서 나오면 좋겠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신비한 수학사전 알쓸신수!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Part 2. 두 유 노우 ‘김치’?Part 3.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스스로 흠집을 치유하는 자동차, 펌프와 냉매 없이 스스로 냉동하는 냉장고. 무슨 소설 같은 얘기인가 싶겠지만, 실제로 개발되고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의 공통점은 바로 금속. 소비자가 꿈꾸는 제품의 감성을 소재에서부터 구현하는, 이른바 ‘감성금속’이다. “방짜유기가 왜 고급스럽게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미국의 소설가 마크 트웨인은 “사람이 여든 살에 태어나 점차 열여덟 살로 젊어진다면 인생은 대단히 행복해질 것”이라는 말로 늙음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했다. 질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사는 일이 인류가 보편적으로 가장 오래 공유한 행복의 기준인 셈이다. 지금도 이 욕망에는 변함이 없다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거대수치계산연구센터 연구 교수는 “우주가 여러 개일 수 있다는 생각은 마치 소설 같은 이야기지만, 그럴 수도 있다는 가능성은 있다”고 설명했다. 우주가 여러 개라는 증거도 없지만, 아니라는 증거도 없다는 것이다. 다양한 다중우주론이 있는데, 여기서는 우주론과 양자역학, 수학에서 나온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