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로"(으)로 총 1,3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유럽 2024년 문 빌리지 건설 ‘문레이스’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하게 했다. 마카야 엔지니어는 “아직까지 단단하기가 석고 정도”라며 “가로 20cm, 세로 10cm, 높이 3cm 블록을 만드는 데 5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최근 블록을 직육면체가 아닌 나사와 볼트, 톱니바퀴 등 다양한 모양으로도 찍어냈다. 그는 “달 착륙선 등 장비가 망가졌을 때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천문학 연구에서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좌표계를 사용해요. 하늘을 가로와 세로로 나누어 각도를 표시하면 천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지요. 그러나 별자리는 여전히 대략적인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유용하게 쓰이고 있어요. 페르세우스자리에서 보이는 ‘페르세우스 ... ...
- [현장취재]모였다! 어과동 만.찢.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가로로 눕혀 꼼꼼이 쌓으면 탑은 튼튼하겠지만 사과를 높이 올릴 수 없고, 나무젓가락을 세로로 세우면 탑은 높겠지만 쉽게 무너질 수 있지요. 실제로 박동현 작가님 모둠은 공들여 쌓은 나무젓가락 탑을 옮기다 와르르 무너뜨렸답니다.제한 시간이 지나자 섭섭박사님은 각 조를 돌아다니며 사과의 ... ...
- [지구를 위한 과학] 고기를 만나러 강으로 갈까나~♪♬ 성무성, 김정훈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조절하는데, 어두운 곳에선 눈동자가 동그랗게 커졌다가 밝은 곳에선 고양이처럼 세로로 길쭉해진답니다. 김정훈 연구원은 하천 한 구석을 가리켰어요.“저기 자갈이 깔려 있고 물살이 빠른 여울에서 아마 수많은 꾸구리가 헤엄치고 있을 거예요.” 꾸구리는 최대 서식지인 섬강에서는 쉽게 볼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간 조절 능력 획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그런데 최근 싱크홀은 대부분 도시 내에서 발생하고 있어요. 지난 9월 6일에는 가로, 세로 50m 크기의 땅 꺼짐 현상으로 서울의 한 유치원 건물이 10°가량 기울며 무너져 내리는 사고가 일어나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원인기도 했어요. 국토교통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 ...
- [특별기고]목숨을 건 체험기...아마존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관찰하며 생물을 채집한다. 또 ‘방형구 조사’라고 불리는 방법에 따라 가로 10m, 세로 10m로 정해진 지역 안을 꼼꼼히 돌아다니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발견되는 모든 동물들은 채집하고 기록으로 남긴다. 하지만 방형구 조사는 선 조사와는 달리 지나가는 길의 나뭇가지 등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밀가루 반죽에 넣으면 탱글탱글하고 차진 식감을 느낄 수 있다. (요리스타 청 참조) ●세로천체 등의 광원이 내는 빛의 파장이 긴 쪽으로 밀리는 현상.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파장이 길수록 붉게 보여 붙여진 이름이다. (과학뉴스 참조)❷ 중력이 극단적으로 강한 천체. 빛을 비롯해 어떤 물체든 ...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건물이 가로로 누워있는 이유는?“저쪽에 건물 두 동이 있는데, 하나는 세로로 길고 다른 하나는 가로로 길어요. 각각 아리안5와 아리안6 발사체 조립동이에요. 수직으로 세워 조립하는 다른 발사체와 달리 아리안6 발사체는 수평으로 뉘어서 조립하기 위해 조립동도 가로로 길게 지었답니다 ... ...
- part 1. 오일러 앞선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2006년 여러 수학자와 과학자가 노력한 끝에 오일러보다 무려 61년 앞서 최석정이 가로세로가 9칸인 ‘9차 직교라틴방진’을 만들었다는 것을 전 세계에 알렸습니다. 누가 먼저 알고 있었는지 따질 만큼 직교라틴방진이 중요한 이유는 ‘조합론 디자인’의 효시로 보기 때문인데요. 조합론 디자인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휴젤마이어가 인터넷 논문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매끄러운 조르당 곡선에는 가로세로 비율이 인 직사각형이 항상 있다는 것을 증명한 논문을 공개했습니다. 만일 이 증명이 옳다면 r=인 경우에 내접 사각형 문제를 해결한 것이지요. 이 논문에서는 2보다 같거나 큰 자연수 n이 있을 때 1과 n-1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