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염 물질
오물
찌꺼기
혼합물
d라이브러리
"
불순물
"(으)로 총 362건 검색되었습니다.
번개의 신화에서 전자공학 혁명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벨전화연구소의 쇼클리에 의해서 발명되었다. 트랜지스터는 게르마늄에 극히 적은
불순물
이 섞인 것인데 이 물질이 3극진공관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의외의 사실이 발견되었다. 또한 트랜지스터는 그 부피가 극히 작고 전력의 소모가 적을 뿐 아니라 반영구적이며 즉시 작동된다는 우수한 기능을 ... ...
한국과학기술원 김영길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특수합금일수록 그 제조과정은 청정도가 높아야 합니다. 원료뿐 아니라 합금과정에서도
불순물
을 최소한도로 줄여야 하지요. 따라서 ${10}^{-3}$mmHg(1기압은 7백60mmHg)이하의 진공에서 합금을 만들 수 있는 진공유도용해와 진공아크재용해 장치가 모두 필요합니다. 그런데 일본에는 1백여 곳에 있는 이 ... ...
광양제철소 그 강점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093%, 황 0.03%)을 많이 포함하고 굳으면 무쇠가 된다. 반면에 용강은 전로의 산화작용 결과
불순물
이 훨씬 제거된 액체 강철이다. 전로에서는 고로와는 달리 따로 에너지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산소가 첨가되는 산화반응시는 막대한 산화열이 발생돼 그열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제강량은 제철소의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판명되어 사용금지시킨 나라가 많다. 특히 사카린나트륨은 사용시 순도가 높지 못하고
불순물
이 생기면 자궁세포암 방광세포암 등의 발암성이 생기는 것으로 동물실험결과 밝혀졌다. 조미료인 L-글루타민산나트륨은 화학조미료의 성분으로 그 독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데, 두통 현기증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먼저 침사지에서 무거운것을 가라앉힌 뒤 혼화지로 들어간다. 여기서는 채 가라앉지않은
불순물
을 엉겨붙게하는 응집제와 약산성이던 물을 중성으로 만드는 소석회가 투여된다. 이렇게해서 물속의 불순믈은 처음엔 작게 엉겼다가 차츰 큰 덩어리가되어 침전지에서 밑으로 가라 앉는다. 침전지를 ... ...
보다안전하고 공해없는 천연가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때문에, 애초에 수분이나 탄산가스 그리고 부식을 일으키는 유황분 금속성분 등
불순물
을 제거하지 않으면 액화가 불가능하다. 또 질소가스와 같이 액화되지 않는 가스는 제조공정에서 LNG에 섞일 우려가 없다. 따라서 LNG는 어떤 연료보다 순도가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면 이러한 특징을 갖는 ... ...
PART 4 문명의 모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사용하며, 물은 표백작용에 있어 용제로서 사용되고 제지 공장에서는 펄프에서
불순물
을 빨아내는데 사용된다. 물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는 피스톤을 돌릴 수 있어 믿을 수 없이 거대한 기차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되었고 이는 산업혁명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수력발전은 ... ...
컴퓨터 범죄 하이테크 사회의 새로운 재앙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컴퓨터 범죄는 완벽한 증거인멸로 범죄사실이 쉽사리 발각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일단 발생하면 불특정 다수인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사 ...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도록, 장래에는 컴퓨터 범죄를 비롯한 정보화의
불순물
이 남겨지지 않도록 모두가 지혜를 발휘해야할 할 것이다 ... ...
신소재의 과학 꿈의 재료를 설계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와서야 시작되었으며 그 시초는 화학이었다. 산화에 관한 지식을 제강에 응용하여
불순물
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을 발견한 이래 화학분석은 알맞은 원재료를 선택하고 공정을 제어하는 중요한 수법이 되었다. 1866년에는 새로운 현미경법이 등장했다. '소비'(H.C.Sorby)는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강(鋼 ... ...
PART8 세라믹스 재료 제2의 석기시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재료의 아킬레스건이라고 말하는 것이 바로 이 취성파괴라는 것이다. 기공, 입자의 응집,
불순물
등의 미세결함이 금을 가게 하는 원흉이 되기 때문에 최근의 세라믹스의 연구는 이러한 결함을 제거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결함제거를 위한 하나의 방법은 고순도 외에도 소결(燒結)전에 고밀도로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