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24마리의 토끼 한반도 면적 78배를 뒤덮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섬으로 코알라나 담비 등 토착종이 주로 살고, 토끼의 천적이라고 할 만한 동물은 대부분 살지 않았습니다. 토끼 또한 원래 호주에 살지 않았어요. 그러다 영국에서 호주로 넘어온 토끼에게 사계절이 온화한 호주는 무척 살기 좋았습니다. 포식자의 위협도 적어 금세 그 수가 늘어났지요. 거기에 ... ...
- [광고] 올해 과학과 역사, 문화를 모두 담았다! 내셔널지오그래픽 키즈 사이언스 2023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키즈 탐험가 퀴즈 풀고 책 선물 받으세요퀴즈를 맞추신 10분께 책을 선물로 드립니다. 책을 받으면 후기 기사를 꼭 작성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팝콘플래닛 플레이콘 - 어과동 선물터를 확인하세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예전처럼 활을 잘 쏘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강화플라스틱은 탄소섬유가 포함된 플라스틱의 일종이에요. 높은 강도와 가벼운 무게 덕분에 활이나 화살을 만드는데 외에도 항공기, 우주선, 풍력발전기 날개, 고성능 자동차 등에 널리 쓰이고 있어요. 그런데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의 단점은 제조 비용이 높다는 거예요. 그래서 최근에는 ... ...
- [Rethinking] 두 번 째 질문, 기호 x가 수학에 끼친 영향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그런데 학생들은 기호화의 장점 못지않게 단점도 많이 느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수학 교과서에서 많이 보는 ‘문장제 문제’가 원래는 날것 그대로의 방정식 문제라고 할 수 있지요. 우리는 그 문장제 문제를 기호로 바꿔서 풀게 되는데, 사실은 기호를 쓰지 않고 원래 그대로의 대수적 ... ...
- [과학사] 1961년 1월 31일 침팬지 햄, 영장류 최초로 우주 다녀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햄이 탄 캡슐은 발사와 비행을 무사히 마치고 지구의 대서양에 떨어지며 약 15분만에 지구로 귀환했지요. 그는 역사적인 우주비행을 한 지 22년 후인 1983년 1월 18일 세상을 떠났습니다.한편, 영장류 행동 전문가 제인 구달은 햄이 비행시 보여준 얼굴은 공포를 잔뜩 느끼는 표정이었다고 밝혔어요. ... ...
- [광고] 2050 탄소제로시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탄소 발생을 줄이고, 또 탄소를 흡수하는 ‘탄소제로시티’를 만드는 거예요. 개개인도 분리배출, 제로웨이스트샵을 적극 활용해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어요. 더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싶다면 ‘2050 탄소제로시티’가 열리는 국립부산과학관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 ...
- [에디터 노트 ]‘실친’을 만들 수 있는 곳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보는 느낌이랄까? 뷔페에 와 있는 느낌!” 권민경 독자위원이 올해 개편한 과학동아 1월호에 대해 평한 의견입니다. 이다연 독 ... 우리는 아직 갈 길이 멉니다. 과학동아는 지금보다 훨씬 더 재밌어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도와주신다면요. 함께해 주실 거죠 ... ...
- [이달의 뉴스] 비처럼 쏟아지는 미세플라스틱 호흡기 질환 유발 가능성도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보다 큰 미세 플라스틱만 측정했는데, 오클랜드대 연구팀이 수집한 미세 플라스틱은 대부분 크기가 10~50㎛였다. 100㎛보다 큰 미세 플라스틱은 전체의 3%에 불과했다. 연구팀은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작을수록 그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며 “향후 연구에서 우리가 얼마나 많은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물론 모든 영장류에게 학습 기회가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관찰 당하는 개체도 고군분투하며 지금의 생존 스킬을 익혔을 텐데, 다른 개체가 쉽게 보고 배울 수 있게 마냥 내버려둘 리 없다. 영장류학자들은 종별로, 그리고 그룹별로 사회적 관용 정도를 조사한다. 사회적 관용이란 먹이가 있는 장소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실험실에서 이룬 조직공학의 성과가 병원에서 수많은 환자에게 혜택을 주고 있다는 건 분명합니다.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에서 인간을 연구하는 매력적인 조직공학이라는 학문에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