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지대한 기여를 한 셈이다.벤저 교수는 알투(rⅡ) 파지 변이체라고 알려진 박테리오파지(
박테리아
에 감염하는 바이러스)를 연구해 유전자가 DNA조각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당시는 왓슨과 크릭이 DNA 이중나선의 구조를 밝힌 직후로 유전자와 DNA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한창이었다. 그러던 중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메탄가스의 양도 많다. 이렇게 메탄가스가 많이 녹아 있는 해역에는 이 가스를 좋아하는
박테리아
가 서식하고 이들을 잡아먹는 게와 물고기가 모여들면서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그래서 새들은 물고기를 먹기 위해 하와이로부터 거리가 480km 이상 떨어진 이 곳까지 오는 것이다.*마히마히 : 하와이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리보솜 결정을 얻기보다 이를 연구할 수 있는 모델을 갖고 실험합니다.”그는 또 “슈퍼
박테리아
를 물리칠 항생제는 단기간에 나올 수 없고 만드는 데 얼마나 걸릴지 아무도 모른다”며 “현재 화이자, 글락소 스미스 클라인(GSK) 등의 제약사와 함께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어 몸집이 커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몸집이 커지면 소화 기관도 길어져 소화를 돕는
박테리아
가 활동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파충류 역시 충분한 환경만 뒷받침된다면 지금보다 몸집이 더 커질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대기 중 산소 농도가 크기에 영향을 줬다는 ... ...
양귀비 진통 효과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성분을 미생물로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게 됐다”며 “조만간 이 유전자들을 효모나
박테리아
에 도입해 약물을 실제로 생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공급한다.3 쓰레기에서 얻는 메탄가스로 난방을근처 쓰레기 매립장에 있는 쓰레기를
박테리아
를 이용해 분해하고, 그 과정에서 얻은 메탄가스를 이용해 실내 난방을 하고 있다. 또 폐수처리 과정에서 버려진 열로 다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기는 벤쿠버 지역에 공급되고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발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내는 이온을 분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ICP기술은 짠맛 외에도 물을 오염시키는
박테리아
나 특정 물질을 없애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소형 장치 수백 개를 묶고 태양광전지로 전기를 공급하는 간이 장치를 만들면 지진 재해나 가뭄 재해 지역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름 2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연구하기도 해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옛날에 살던 미생물, 특히 광합성을 하는 ‘시아노
박테리아
’가 물 속의 작은 알갱이와 엉켜 단단하게 굳어진 덩어리로, 미화석이 나올 확률이 높지요. 하지만, 샘플 1000개를 조사해야 1개 발견할 정도로 찾기 힘든 것이 사실이에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이런 ... ...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사막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절경이 계속 이어진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호수(라구나)들이다. 각각의 라구나는
박테리아
나 미네랄 또는 비철금속 같은 성분에 따라 저마다 다른 빛깔을 낸다. 파스텔 톤으로 넓게 펼쳐진 호수의 언저리에는 연분홍빛 깃털을 뽐내는 플라밍고들이 한가로이 노닌다. 근처 초지에서는 부지런히 풀을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것은 불가능하며, 과학자들은 지난해에서야 381개의 DNA 조각을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인공
박테리아
의 게놈(유전체)을 만드는데 겨우 성공했다. 물론 먼 미래에는 과학이 발전해 이들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은 있다. 사람의 DNA를 외계인 DNA로 번역하는 기술이 나온다면 복제가 좀 더 수월해질 것으로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