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불합리
부조화
부조리
자가당착
무논리
비논리성
d라이브러리
"
모순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롬카드화한 만능 한글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외국에서 시작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우리 실정에 맞추어 사용한다는 것은 약간의
모순
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영문으로 작동되게 만들어진 소프트웨어에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 역사가 얼마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한글을 구현하려는 노력은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을 수 있음을 의미했다.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과 허블의 적색이동의 관찰에
모순
이 없으면서 확장하고 있는 우주에 대한 적절하고 실질적인 모델이 러시아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프리드만(Alexander Friedmann)에 의해 제시됐다. 모델은 다음의 세가지로 일반화된다. 첫째 은하계들은 아주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전부가 될 수는 없다. 출생시 좌뇌 또는 우뇌가 다칠 확률을 각각 반반으로 본다면 금방
모순
이 생기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왼손잡이가 인구의 불과 5~10% 밖에 되지 않는 현실을 도저히 설명할 수 없게 된다.아울러 탄생시의 뇌손상이 오른손잡이가 되려는 강력한 바램(유전자 등)을 완전히 뒤집어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새로 소개된 이론체계인 양자역학이란 미시(微視)의 세계를 다루는 물리학의 이론과
모순
점이 없는가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20세기 초부터 발달하기 시작한 양자역학은 원자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잘 기술하고 있는데 이제는 의심의 여지가 없는 확정된 이론으로 통하고 있다. 그 이론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1,t≧1이다. a₃=a₁+2r=1+2(p-1)=2p-1=(수식)+1은 3의 배수이므로 3|a₃와 3|n은 (a₃, n)=1에
모순
이므로 p>3일 수 없다. 따라서 n은 소수이거나 2의 거듭제곱이다.제32회 IMO 출제문제첫째날1. Δ ABC의 꼭지점, A, B, C에서의 내각의 이등분선이 대변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 C'라 하자. ...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때의
모순
점을 찾아내는 간접적인 증명법을 써본 것이다. 그 결과는 예상 밖이었다.
모순
이 일어나기는 커녕 그 부산물로 새로운 명제(=정리)가 쏟아져 나왔다. 곧 수학자들은 이것들을 하나로 엮으면 유클레이데스기하학과는 딴판인 새로운 기하학의 체계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았다.독일의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등 생명현상을 이해하면 유전학 분자생물학 열역학법칙 등 기존의 실험과학적 사실들과
모순
되지 않을 뿐 아니라 화석자료들과도 잘 일치한다.대진화가 일어나려면 유전자 변이가 반드시 일어나야 하고, 또 새로운 형질이 선택돼 더 복잡하고 질서있는 고등생물로 발전돼야 한다. 그런데 실제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멀미의 원인을 설명하는 또하나의 이론은 눈 귀 관절 등에서 뇌로 보내진 정보들이 서로
모순
돼 멀미를 일으킨다는 견해다. 1975년 영국의 리즌과 브랜드가 제안한 이 이론은 정보의 어긋남이 멀미를 일으킨다는 게 핵심이다. 예컨대 '지금 운동중이다'라는 정보는 전정(귀)에서 뿐만 아니라 눈 그리고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새로운 해석으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그것은 프리드만 우주론이 지니고 있는 몇 개의
모순
을 해결한 새로운 이론, 즉 급속팽창(inflation)이론이 발견된 데에서 비롯됐다. 이 급속팽창이란 우주초기의 극히 짧은 순간 동안(${10}^{-30}$초 이하)에 우주의 크기가 ${10}^{29}$배에서 10의 1억승(!)까지 엄청난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도 좋아야 한다. 사실 금속은 강도가 커지면 연신율이 떨어지는 것이 상식. 이러한
모순
을 극복하는 합금을 만드는 것이 리드프레임 신소재 개발의 열쇠다.리드프레임은 실리콘칩 금속세선과 함께 반도체의 3대재료로 손꼽힌다. 실제로 IC(집적회로) 제조원가의 25~30%를 차지한다.김교수가 리드프레임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