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중이온이라는 구슬을 통해 펨토미터(fm·1fm는 1000조 분의 1m) 수준의 세계를 들여다본다. 나노과학이 분자를 관찰했다면, 펨토과학은 원자의 중심부에 있는 원자핵과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 중성자의 세계를 탐구한다. 원자핵을 보기 위해서는 최소 100만eV(1MeV·메가전자볼트)의 운동에너지가 ... ...
- [Issue] 라돈 침대 왜 위험한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몸 안으로 들어오면 폐의 상피세포에 달라붙는다. 아무리 투과력이 약한 알파선이라도 10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세포막은 쉽게 뚫을 수 있다. 라돈침대의 외부피폭선량을 측정한 이훈 한국원자력안전재단 방사선안전부 생활방사선팀 연구원은 “보통 내부피폭이 외부피폭보다 10배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다. 이중 일본, 영국, 중국의 뮤온 빔은 상대적으로 해상도가 떨어진다. 뮤온 빔이 100나노초(ns·1ns는 10억 분의 1초) 동안 다발 형태로 나왔다가 끊어지고, 다시 나오길 반복하기 때문이다. 뮤온 빔을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설은 캐나다와 스위스에만 있다. 최 교수는 “연속적인 뮤온 빔을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방사광은 파장이 0.1~6nm에 이를 정도로 매우 짧다. 그래서 생물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등 나노미터 수준의 물질을 분석할 수 있다. 일종의 ‘X선 현미경’인 셈이다. 강태희 포항가속기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병원에서 쓰는 X선 촬영과 유사한 파장의 빛을 쓰지만, 빛의 세기가 다르다”며 “X선 촬영은 ... ...
- Intro. 노벨상 향한 대장정 스타트, 중이온가속기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실험시설이자, 산업계에는 새로운 기술 개발의 터전이다. 머리카락 한 올 두께보다 작은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와, 이보다 100만 배 더 작은 펨토미터(fm·1fm는 1000조 분의 1m)의 세계를 보여주는 최첨단 ‘현미경’이기도 하다.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이 2021년 완공을 목표로 구축에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당시쑤저우대는 237억 원을 투입해 나노및소 프 트 재 료연구 소(FUNSOM)를 설립했다. 나노기술, 생물의학, 에너지 등 정부가 ‘미는 분야’를 골라 집중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이었다. FUNSOM 연구진은 쑤저우대 전체 연구 인력의 2.2%에 불과하지만, 연구결과의 40%가 FUNSOM에서 나오고 있다 ...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나오며 우리가 할 일은 그것을 잃지 않고 보존하는 것입니다. 김영혜서울대 생체분자나노재료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식물 광합성을 모델로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전환하고 고부가가치의 탄소 연료를 생산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최종 심사에서 선발된 팀에게는 아시아 지역 나노 관련 국제행사에 참가 할 수 있는 자격도 주어진다. 대학생과 대학원생이라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다 ...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두께가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라면, 유기 반도체는 10분의 1 수준인 3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면 충분하다. 현재 정 교수팀은 두께가 100nm인초박형유기태양전지를개발했다. 두께가 얇은 만큼 쓰임새도 다양하다. 건물 외벽을 태양전지로 입힐 때 태양전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질량이나 1 mg 이하의 질량을 정확하게 재기 어려웠다”며 “새로운 측정 기술이 반도체, 나노기술 등이 발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알려드립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국제단위계(SI 단위계) 표기 규정,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라 수치와 단위 기호 사이를 띄워 쓸 것을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