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여"(으)로 총 1,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장애로 설명하고 있다. 저장강박행위와 관련이 있는 부위로 보상과 관련한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안와전두엽(orbito-frontal cortex), 갈등이 유발될 수 있는 상황을 지켜보는 앞쪽 대상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 그리고 특정 자극에 맞춰 습관화된 행동을 선택하고 수행하는 미상핵(caudate nucleus),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광자뿐이기 때문이다. 다른 힘인 강한 상호작용과 약한 상호작용은 모두 여러 입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더 복잡하다(중력은 아예 어느 입자가 전달하는지 아직 모른다).암흑물질 세계의 물리법칙이 우리의 물리법칙과 닮았다면 암흑전자기력을 전달하는 입자도 암흑광자 하나뿐일지도 모른다. ...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발달하면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런 질환에 면역계 발달에 관여하는 장내미생물 조합인 IRT5를 투입해 면역계를 재교육시켜 증상을 완화한다는 임 교수팀의 연구는 ‘위생가설’과도 잘 부합한다. 물론 장내미생물과 위생가설의 관계를 좀 더 분명히 보여주는 연구결과도 여럿 ...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마스터대 연구진과 함께 지난해 8월 장내미생물이 생물의 행동과 기분 등 정신건강에도 관여한다고 발표했다.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먹은 쥐가 무균쥐에 비해 스트레스를 덜 받았으며 우울해하거나 불안해하는 행동이 적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무균쥐를 두 ...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때문으로 보인다. 식약청은 앞으로 더 많은 화학 약물을 대상으로 흡수에 장내미생물이 관여하는가 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다.한편 천연약물은 또 다른 방식으로 장내미생물과 상호작용하면서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은행잎 추출물의 경우 장내미생물 가운데 대표적인 ...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자들은 이 유전자가 피부 세포가 접히는 배열을 결정하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지금까지 두 사람의 지문이 동일한 사례가 보고된 적은 없다. 지문이 확고한 증거로 채택되는 이유다. 일란성 쌍둥이도 지문은 서로 다르다. 한편 지문 패턴에는 유전성이 ...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전자를 얼마나 강하게 붙들고 있느냐에 따라 다른데, 이는 빛과 원자 간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미세구조 상수에 영향을 받는다는 얘기다. 칠레 초거대 망원경이 보여준 2차 반전1990년대 후반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의 물리학자 존 웹(John Webb) 교수팀이 퀘이사 관측을 통해 α 값을 조사하기 ... ...
-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향기가 아닌 페로몬에 끌리는 걸까. 과학자들은 사람에게서 페로몬을 감지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인 ‘TRP2’를 찾아냈다. 하지만 사람의 TRP2 유전자는 염기서열에 변이가 많이 생겨 지금은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는다. 유전자의 흔적만 남은 셈이다. 개코원숭이, 침팬지, 고릴라 같은 원숭이류도 ... ...
- 살찌는 원인은 ‘미식가’ 혀?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혀다.미국 워싱턴대 의대 야니나 페피노 박사 연구팀은 혀가 지방의 맛을 느끼게 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가 있으며, 이 유전자의 차이에 따라 개인별 지방 섭취량이 달라져 비만 차이를 낳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지질연구저널’ 2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사람이 기본적으로 지방의 맛을 ...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영역은 10살 전후부터 회백질이 얇아진다. 그 뒤에 공간 방향, 발성, 언어 발달에 관여하는 영역의 변화가 따른다. 판단이나 의사결정 같은 고차원적 사고를 담당하는 부위는 10대 후반에 가서야 회백질이 얇아지기 시작한다.따라서 청소년은 감각정보를 받아들여 처리하는 능력은 성인과 차이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