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제"(으)로 총 1,909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길이 아직 멀다. 황 선임연구원은 “효율, 내구성, 경제성을 모두 고려하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고 말했다.이산화탄소 전환기술에 포함된 많은 기술들이 상용화를 목표로 달리고 있다. 어떤 기술은 조금 빠르게, 어떤 기술을 조금 느리게 다가오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 ...
- [과학뉴스] 철새의 졸음비행…괜찮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평소보다 훨씬 적게 자면서 빠른 속도로 비행할 수 있는 이유를 밝히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8월 3일자에 게재됐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실용적인 비례식과 비례배분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비와 비례를 배우기 시작할 때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비와 비례의 사례를 찾아오는 과제를 내주면 좋습니다. 비는 ‘두 대상 사이의 곱셈적 관계’이고, 비례는 ‘두 비의 상등’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바나나 2개와 우유 5컵을 섞어 바나나우유를 만든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바나나가 4개, ... ...
-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떠올리게 하고, 다른 참가자에게는 일상적인 일을 기억하게 했다. 그 후 참가자에게 함께 과제를 할 가상의 파트너의 프로필을 보여 주고 상대가 얼마나 똑똑하고 좋은 사람일 것 같은지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무서운 생각을 했던 참가자는 자신과 종교와 정치적 신념이 비슷한 파트너를 좋게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차별은 없다. 공동과제를 하고 있는 다른 두 명과 달리, 오히려 지환 씨는 독립적으로 과제를 하고 있다. 그가 이번 여름 동안 연구를 할 분야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스마트홈이다. 지환 씨는 “프로그래밍이 익숙지 않아 고생을 많이 하고 있다”며 “인턴 기간 동안큰 프로젝트를 끝내기는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높은 곳에 쏠려가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 뒤쳐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특정 기획과제를 주거나, 말뿐인 세부계획을 짜게 하는 것 등은 과학자들의 생각을 가두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민 교수는 “유능한 과학자를 자유롭게 놔두면 새로운 분야를 스스로 개척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쌓은 기술을 활용해 즉석 번역이나 스마트폰 비서, 나아가 의료 분야의 어려운 과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Part 3. ... ...
- [출동! 섭섭박사] 주스가 쫄깃쫄깃 젤리로 변신! 분자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기자단 친구들과 섭섭박사님이 대전에 있는 국립중앙과학관에 모였거든요. 오늘의 도전과제는 분자요리 만들기! 요리사로 변신한 박사님과 친구들은 어떤 요리를 만들었을까요?분자요리는 음식의 성분, 요리의 과정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새로운 맛과 모양의 음식을 만들어 내는 요리법을 말해요. ... ...
- [Tech & Fun] ‘김여사’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줄일 방법을 찾을 것이다. 관련해서 여성 참가자들에게 여성들이 잘 못한다고 알려진 과제를 조금만 훈련시켰더니, 금방 차이가 없어졌고 이 상태가 3주간 그대로 유지됐다는 실험이 있었다(Human Performance, 11, 337-349).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서로를 옭아매는 대신 차이를 줄여나갈 방법을 함께 찾아보자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알파고의 딥러닝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요? 알파고는 기보를 보고 다음 수를 예측하는 과제부터 시작했어요. 인간이 둔 다음 수를 정확히 예측하면 ‘성공’, 틀리게 두면 ‘실패’지요. 그럼 성공한 수가 더 중요한 정보로 남아요. 알파고는 이런 식으로 기보 16만 건을 학습한 뒤에 마치 사람처럼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