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적
용적량
분량
함유량
산출량
d라이브러리
"
용량
"(으)로 총 1,09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06
카드에 일부 데이터 기억용의 IC를 수용한 것 자기(磁氣)카드의 100배 이상의 기억
용량
을 가진다 IC에는 기억기능 외에 간단한 연산기능(演算機能)도 부여되어 있다 크레디트 카드, 은행카드, 개인의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06
개발돼 연산 속도가 동작 주파수의 수배나 되는 것까지 등장했다. 결국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
이 무어의 법칙을 충실히 따른 결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가 바뀌었을 뿐 아니라 초고속 마이크로프로세서도 등장할 수 있었다. 멀티+64비트=울트라마이크로프로세서는 어디까지 진화할 수 있을까?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06
응용하면 지금까지 2차원 평면 위에 정보를 담았던 CD나 DVD와는 차원이 다른 대
용량
매체가 실현 가능하다. 이밖에도 나노 조형물은 3차원 광결정체, 광메모리뿐만 아니라 미세한 세포 배양틀 등에도 널리 응용할 수 있다.“광경화수지보다 활용 범위가 넓은 금속으로 나노 형상을 만드는 연구를 추진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06
있다. 선봉장은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황창규 사장. 황 사장은 2002년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
이 1년에 2배씩 늘어날 것이라는 ‘황의 법칙’을 ‘도발’했다. 그의 무기는 모바일. 새로운 디지털은 컴퓨터 대신 모바일을 타고 스피드를 높였다.제2의 디지털 혁명은 컴퓨터가 아니라 모바일 기기에서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06
노트북 컴퓨터에 서 사용할 수 있다. 황의 법칙에 따르면 요즘 휴대전화의
용량
이 일반 PC
용량
의 100분의 1정도이므로 7~8년 후에는 휴대전화가 PC의 기능을 대신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처럼 무어의 법칙이나 황의 법칙은 그 성장의 속도는 다르지만 우리 주변의 디지털 기기의 미래를 전망할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06
만들어진다. 이 판은 대
용량
메모리 저장장치를 만드는데 응용할 수 있다.메모리의 저장
용량
을 늘리려면 정해진 공간에 많은 반도체 소자를 심어야 한다. 현재 메모리 저장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인 리소그래피로는 반도체 소자를 심는 단위공간을 50nm 정도까지 작게 만들 수 있다. 반도체 집적도가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06
a), 저항이 높은 비정질 상태를 1로(b) 인식해 데이터를 저장.장점 :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
용량
이 큼.단점 : 기록 시간이 오래 걸림 강유전 메모리(F램, Ferroelectricity)작동원리 : 강유전체의 분극 특성을 이요해 데이터를 저장. 분자가 전류와 반대방향의 극성을 띠면 저항이 커서 전류가 잘 흐르지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06
속도’로 팽창하는 가운데, 쉽게 기록하고 쉽게 지워 버릴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와
용량
이 작으면서도 속도가 빠른 플래시 소프트웨어가 만들어낸 플래시 문화는 앞으로 새로운 한류(韓流)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무어의 법칙 지고, 황의 법칙 뜬다 01. 섬씽 디지털이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05
때문이다. 여러 단어를 외울 때 한두개의 문장으로 만들면 더 쉽게 외우는 것도 기억단위
용량
이 단어에서 문장으로 확대됐기 때문이다.이미 알고 있는 지식의 양도 기억력에 영향을 미친다. 뇌는 새로운 정보가 들어왔을 때 관련 있는 기존 지식과 묶어 좀더 큰 기억단위를 만든다. 기존 지식과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3
멋진 신세계나노 기술이 쓰이는 분야는 정말 다양해요. 크기는 작아지지만 반대로 기억
용량
은 커지는 차세대 반도체와 전지의 개발, 인체의 모세혈관 속을 잠수함처럼 돌아다니며 질병을 치료해 줄 수 있는 나노로봇을 비롯하여 우리 친구들이 좋아하는 TV와 컴퓨터 등 나노 기술이 쓰이지 않는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