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3,514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
과학동아
l
201507
있는 모든 미시적인 상태의 개수를 의미한다. 볼츠만의 도움으로 물리학자들은 “닫힌
시스템
에서 엔트로피는 늘 증가한다”는 열역학 두 번째 법칙의 의미를 비로소 이해하게 됐다. 미시적인 물리법칙들은 뉴턴의 운동방정식처럼 과거와 미래를 같은 방식으로 설명한다. 물리학자들은 이를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07
박사 연구팀은 신속하게 번개를 예측하는 방법을 수학적으로 찾아내 지난 2014년 국제환경
시스템
과학공학컨퍼런스에서 발표했다.번개가 칠 때의 대기는 음전하와 양전하가 뒤섞여 있는 플라스마 상태다. 연구팀은 구름에 있던 전하가 땅으로 내려가려면 플라스마의 밀도가 크게 영향을 미칠 거라고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7
없지만, 사람 입장에서 봤을 때 똑똑한 행동을 한다. 애플의 ‘시리’나 구글의 검색
시스템
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강한 인공지능은 지성, 이성, 감성 등 인간의 다양한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다. 인간과 대화하고 함께 생활하는 데 장벽이 없다. 영화 ‘그녀’ 속 사만다가 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
과학동아
l
201507
공부할 시간이 없는 의사들을 위해 최신 의학 정보와 처방 결과 등을 알려주는 의사 보조
시스템
이다.“전문가 수준의 지식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산업환경에서 신 산업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2020년을 전후로 분명 큰 시장이 열릴 거예요. 그 때까지 국내 최고를 넘어 세계 어디에 내놔도 부끄럽지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7
미션을 수시로 시행했다. 연습장과 달라진 환경에 맞춰 적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스템
안정성 역시 우승에 큰 역할을 했다. 실제로 로봇이 연습 때는 미션을 잘 수행하다가 현장에선 고장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다.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창업 벤처기업인 ‘레인보우’의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
수학동아
l
201507
사이버 가정학습은 학생에게 매일 공부할 분량을 주고 문제를 풀면 바로 채점해 주는
시스템
이다. 사이버 가정학습을 반복하면 자기가 틀린 부분을 바로 알 수 있고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다. 김 선생님은 이 방법이 수학 성취도가 낮은 제자들에게 특히 효과가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 ... ...
아플 때 입맛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06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필라델피아대 모넬화학감각연구소 연구팀은 아플 때 체내 면역
시스템
이 활성화되면서 쓴맛에 민감해진다는 논문을 ‘뇌·행동·면역’ 4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면역세포 중 감염을 막는 조절 단백질인 종양괴사인자(TNF) 유전자가 없는 쥐와 있는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06
나타나도 플루트를 이용해 언제 어떤 경로로 퍼질지 예측할 수 있다. 황교상 KAIST 산업 및
시스템
공학과 연구원(박사과정)은 작년 4월 플루트를 토대로 우리나라 인플루엔자 확산모델을 만들었다. 황 연구원은 “인구구조와 이동행태에 따라 피해도 달라지기 때문에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발표한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06
때까지의 모든 정보를 통합해 모델링해 주는 소프트웨어다. 그 결과, ‘한옥 BIM 설계지원
시스템
’이 탄생했다. 이 프로그램은 파라메트릭 설계를 활용한다. 사용자가 한옥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더라도 한옥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그래서 건축가뿐만 아니라, 학생이나 일반인들까지도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06
역시 뇌의 정확한 부위로 로봇을 조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이상윤 부경대 공간정보
시스템
공학과 교수는 “목표 뉴런에 정확히 도달하기 위해선 결국 자체구동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교수는 ‘유체가압추진방식’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해 2011년 특허를 출원했다. 그의 로봇은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