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스페셜
"
국제
"(으)로 총 4,852건 검색되었습니다.
불평등인가, 생물학적 특성 때문일까…소수인종 코로나 감염·사망 비율 백인보다 높은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비해 백인의 비율은 낮았고 아시아계와 아프리카계 등 유색인 비율은 높았다”고
국제
의학학술지 ‘영국의학저널(BMJ)’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가 영국에서 발생한 뒤 의료진이 감염으로 희생된 사례가 있었다”며 “처음 희생된 10명의 의사가 모두 백인 이외의 소수인종이어서 ... ...
수소차 센서·줄기세포·4차산업혁명 전문가들 훈포장…과학정보통신의 날 빛낸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열전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김 교수는 나노과학 분야 개척자로 320여편의 SCI급
국제
학술 논문과 13편의 특허 등 우수한 연구업적으로 기초과학 분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과학기술포장을 받은 손영숙 경희대 교수는 한국줄기세포학회 회장과 이사장을 역임하며 생명과학자로서 ... ...
봄에 춘곤증 겪는 이유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이로 인한 수면장애를 해소할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커뮤니케이션스 바이올로지’ 15일자에 발표됐다. 기온 변화에 따른 가바신호전달 변화를 나타냈다. UNIST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중구와 코로나19
2020.04.21
때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나이 들수록 부정적인 면 두드러져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지난 3월 6일 호중구의 어두운 면을 다룬 심층기사를 실었다. 든든한 보디가드인 줄만 알았던 호중구가 여러 난치성 질병의 배후라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 ...
'코로나19 미스터리'…"생후27일 신생아 바이러스,엄마의 100배"
연합뉴스
l
2020.04.21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런 임상적 특징이 관찰됐다고 21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감염병'(Clinical Infectious Diseases) 최신호에 발표됐다. 해당 신생아는 입원 당시만 해도 37.6℃ 정도의 가벼운 발열과 코막힘 증세가 있었지만, 하루 뒤에는 체온이 38.4℃까지 상승하고 고열이 이틀 ... ...
[과학게시판]과기공제회 '과학기술인으뜸적금' 가입 기준 완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실장이 '코로나19와 한국경제 파급 영향'을 발표하고, 강내영 한국무역협회
국제
무역통상연구원 수석연구원이 '제조 생태계의 GVC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혁신 방안'을 발표한다. 오성훈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고객산업본부장이 '코로나19 복합위기와 기업의 위기 대응 전략'을, 임현 KISTEP ... ...
홍콩은 어떻게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불러온 2차 파도를 막아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홍콩이 지난 3개월간 코로나19를 확산을 어떻게 막아냈는지를 수치로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술지 '랜싯 공중보건'에 이달 17일 소개했다. 홍콩은 중국 후베이성에서 처음 코로나19가 발발했을 당시 한국과 함께 전파 위험이 가장 큰 국가 중 하나였다. 홍콩은 중국과 교역 규모도 클 뿐 아니라 중국 ... ...
"워킹스루 진료소, 소독과 환기라는 '기본' 잊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중요하다”며 “우리는 이런 기본들을 잊고 있다”는 의견을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대한의학회지(JKMS)’ 20일자에 발표했다. 도보이동형 선별진료소는 공중전화박스 크기의 부스에 달린 장갑을 이용해 의심 환자를 검사하는 진료소이다. 의심 환자가 부스 안으로 들어가면 ... ...
"코로나19 매년 겨울 올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키슬러 미국 하버드대 챈보건대학원 면역학및감염병학과 교수는 지난 14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코로나19가 앞으로 몇 년간 재유행할 가능성이 높으며 2022년까지 간헐적인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동 제한 및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하지 않을 경우 ‘2차 ... ...
美 뎅기열 프로젝트 이끄는 韓과학자 코로나19 항체백신 부작용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과학자가 코로나19에서는 이같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최혜련 미국 플로리다 스크립스연구소 면역학 및 미생물학부 교수와 마이클 파르잔 교수 공동연구팀이 항체 백신의 부작용으로 지목된 항체의존면역증강(ADE) 현상이 코로나19 항체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