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
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
동아사이언스
l
2013.09.12
‘
나노
융합산업협력기구’와 공동으로 기획 시리즈 ‘
나노
人’을 시작합니다. 국내외에
나노
기술 과학자, 정책전문가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韓, 국제 핵사찰 참여국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11
유도결합플라스마 질량분석기 등 10여 종의 각종 첨단 장비들이 설치돼, 1
나노
그램(1ng=10억분의 1g) 이하의 우라늄, 1 피코그램(1pg=1조분의 1 그램) 이하의 플루토늄을 찾아내고 그 총량과 동위원소 비율까지 알아낼 수 있다. 원자력연은 CLASS 시설을 건설하면서 지난 12월에 IAEA로 부터 핵사찰 ... ...
"식품연구는 음지서 양지를 지향하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3.09.11
그 물질을 분쇄해줘야 한다는 거죠.” - 물질을 분쇄한다는 말이 이해가 안됩니다. “
나노
기술이 발전하면서 물질을 잘게 부숴 예전에 없던 새로운 성질들이 찾아내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그런 걸 말하는 겁니다.” 최새미 기자 제공 ● 성격 비슷한 기관끼리 그룹핑해야 효율성 늘 것 - ... ...
은
나노
선만 있으면 태양전지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13.09.11
은
나노
와이어와 인듐 주석 산화물 (indium tin oxide) 태양전지 특성비교한 표로 은
나노
와이어의 경우 굽힘 전, 후의 효율 차이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재료연구소 송명관 박사 제공 연구팀은 이 투명전극으로 태양전지를 만들어본 결과 빛이 전기로 변하는 광변환 효율이 6%로, 기존의 ... ...
연잎 덕분에 만들어진 메모리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9.10
메모리 표면에 연잎의 돌기와 같은
나노
선을 설치했다. 그 결과 빛의 입사각에 따라 굴절률이 바뀌어 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됐다. -미래창조 ... 개발한 메모리 소자에 대해 "빛의 입사각에 따라 저항변화 특성이 조절되는 소자"라며 "
나노
소자와 생체모방기술을 접목한 것"이라고 말했다 ... ...
인체 영향없이 자세히 질병진단 가능한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9
오상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테라헤르츠파를 1
나노
미터(㎚) 구멍에 집속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빛은 일정한 넓이를 유지하며 퍼져나가는 성질이 있는데, 이번 기술은 본래 넓이보다 100만 분의 1만큼 작은 구멍에 집속시키는 광학 ... ...
'以夷制夷' 대기오염 원인인 오존이 해양오염을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8
있었지만, 전기분해나 자외선 방식을 썼다. 오존을 이용한 방법도 드물게 있었지만
나노
미터 단위의 미세 기포를 이용한 장치를 개발 한 건 처음이다. 더군다나 이번에 개발한 장치는 부피가 작아 살균장치를 추가로 장착해야 하는 기존 선박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기술은 ... ...
양성자가속기는 "응용과학에 폭넓게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13.09.06
짧다”고 설명했다. 김귀영 연구원은 “1keV(킬로전자볼트)의 양성자빔으로도 nm(
나노
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조작이 가능하다”라며 “최대 100MeV의 양성자빔을 만드는 경주 양성자가속기에서는 ‘디그레이더’라는 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에너지의 양성자빔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 ...
기초과학연구원(IBS)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기초과학연구원(IBS) △
나노
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그룹리더 박정영 ...
2차 전지 성능 크게 개선한 과학자 인촌상 받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구성 성분인 ‘철 포르피린’은 전지 내 산소의 환원반응을 촉진한다. 또 탄소
나노
튜브 촉매를 이용한 아연-공기 전지의 원천기술을 개발해 전기자동차의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를 500km까지 늘렸다. 기존 리튬이온 전지를 단 전기자동차는 1회 충전으로 180km밖에 못 달린다. 값비싼 백금촉매를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