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밤 당신의 뇌파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Hz 정도에서 느슨하게 나타난다.결국 자연적으로 생기는 수면방추는 잠을 깨지 않게 막는
역할
을 하지만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수면방추는 오히려 잠이 3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막는 걸림돌이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2단계 수면에서 머무르며 더 깊이 잠드는 걸 방해한다는 얘기다. ... ...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TV 가장자리에 설치된 LED에서 뿜어져 나온 빛을 TV 화면에 고르게 반사시키는 거울 같은
역할
을 한다. 삼성전자 LED TV개발팀은 “도광판에 빛을 전반사시키는 광섬유의 원리를 활용해 LED 광원에서 나온 빛의 손실을 줄였다”고 설명했다.인터넷 케이블로 많이 쓰는 광섬유는 빛을 특정 각도로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자기 발전을 위한 실질적 노력이 자연과학분야에 대한 진학 목표를 세우는 데 결정적인
역할
을 했다고 합니다.중학교 생활 내내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 ‘서울 중등 과학 실험 놀이 교육 연구회’, YSC 서울 분원 단체 등이 주최하는 각종 ‘사이언스 잼버리’와 과학 놀이마당에서 준비한 ... ...
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설계에서부터 자료의 수집과 분석, 유행을 발견해 조기에 진압하는 일 또한 역학자의
역할
이다.전염병이 확산되는 과정은 산불과 비슷하다. 조기 진화에 실패해 큰 불로 번지면 그 피해가 막대하다. 만약 신종 인플루엔자가 유행하면 역학자들은 체계적인 역학조사로 조기에 전염병의 유행원인과 ... ...
[신경과학] 지방을 섭취한 기억이 오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한다”며 “열량이 높은 음식에 대한 정보는 원시 인류의 생존과 진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
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실제로 지방 섭취는 필수 기관 보호와 비타민 흡수에 필수적이지만 당시에는 지방이 풍부한 먹이가 귀했다. 그러나 그는 “오늘날에는 OEA의 작용이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며 ... ...
내 세포로 만든 바이오치아 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전사인자 유전자가 치아의 법랑질을 만드는 세포(법랑모세포)의 형성과 활동에 중요한
역할
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26일자에 발표했다. 새끼 쥐에서 이 유전자를 없앤 결과 미발달 치아인 흔적치가 나오면서 법랑질이 씌워지지 않아 치아는 제구실을 못했다.박주철 ... ...
태평성대 부르는 신명나는 소리 태평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파동을 중첩시켜 소리를 크게 하는 공명현상을 일으킨다. 국악기 중 태평소처럼 울림통
역할
을 하는 장치를 가진 악기는 거의 없다.대대로 태평소는 구전방식으로 피리 연주자들에게 전해져 왔다. 운지법이나 서를 이용해 부는 방식이 서로 비슷하기 때문이다. 악학궤범에도 ‘태평소의 음역이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군. ② 과학적 관찰 결과가 이론의 진위를 판단하는 기준
역할
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군. ③ 어떠한 표현 방식을 채택하는가에 따라 과학적 주장의 설득력이 달라지기도 하는군. ④ 과학자들과 일반 대중의 인식 차이로 인해 과학적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는군. ⑤ 지금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CTL), 대식세포, 호중구 같은 다양한 면역세포가 감염 부위로 몰려와 비슷한
역할
을 해낸다. 이런 과정을 선천면역이라 부른다.한편 선천면역계가 싸우고 있는 동안 바이러스 단백질(항원)을 인식하는 항체를 만드는 B 림프구가 선별돼 한 1주일 쯤 지나면 본격적으로 항체를 생산한다. 이걸 ... ...
1억 년 전부터 흰개미와 미생물 공생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초편모충, 옥시모나스 같은 종류로 흰개미가 먹은 나무를 뱃속에서 소화시키는
역할
을 했다. 이는 동물과 미생물 사이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공생 관계 중 가장 오래된 사례다.흰개미는 나무를 먹는 특이한 식성 덕분에 종류만 2300개가 넘을 정도로 널리 번식했다. 포이날 교수는 “흰개미는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