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교수가 이끄는 나노공정연구실은 나노기술과 환경기술, 생명공학기술, 정보기술까지 다
양
한 분야를 넘나들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다. 그는 지난 2004년 서울대 공대 연구부학장을 맡았을 때도 공대와 의대 학제간 연구 시스템을 만들며 융합을 강조했다.최근에는 ‘논문왕’이라는 명예로운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아래쪽에 놓인다. 달과 지구의 공전궤도면이 일치한다고 가정했으므로 달은 같은 면의 태
양
반대쪽에 놓인다. 그림에서 밤의 지평선(④)과 달이 이루는 각인 보름달의 남중고도(h′)는 90°-φ+23.5°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보름달의 남중고도는 77.5°이다.φ : 북극성의 고도=그 지역의 위도① : 천구의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탠퍼드대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유비퀴틴이라는 단백질의
양
이 감소된 유전자 결핍 생쥐를 만들어 이들의 시상하부에서 뇌세포가 손상됨을 보여줬다. 최근에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를 위해 뇌세포의 기능과 생존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 9월 ... ...
억울한 우울증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신경전달물질
양
이 늘어나. 세로토닌은 대뇌에서 분비되는데, 우리 몸에 세로토닌
양
이 늘면 행복해지지. 반대로 세로토닌이 줄면 사회성이 떨어지고 만사가 귀찮아져. 근심걱정은 많아지고 충동적인 성향도 커지지. 이 세로토닌이 아마 ‘괴담’의 진원지가 된 것 같아.2003년 세계적 과학저널인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이동 방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만약 평판 사이에 있는 메타물질로 전자기장의
양
자요동을 파괴하면 카시미르 효과를 약하게 할 수 있다.이들은 나아가 메타물질로 전자기파를 반대 방향으로 구부리면 카시미르 힘을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즉 초소형 기계의 ... ...
우유 속으로 풍덩 빠져볼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기울여 골고루 가열하고, 시험관 입구가 사람이 있는 쪽을 향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적은
양
의 액체를 시험관에서 가열하면 액체가 폭발적으로 튀어나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④ 수단Ⅲ용액은 원래 빨간색이라 다른 검출 실험처럼 색상 변화가 선명하지 않다. 하지만 지방이 없는 경우와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말했다.실험실을 나오니 이번엔 관능평가실이다. 주부 모니터 요원 15명이 독서실처럼
양
옆에 칸막이를 친 평가 테이블에 앉아 연구원이 가져다준 두부된장찌게의 맛을 평가하고 있다. “이 분들은 미각 테스트를 통과한, 균형 잡힌 미각을 가진 주부들입니다. 이 분들의 평가가 제품 개발 방향을 ... ...
SPORE, 게임에 진화가 팍팍?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바꿀 수 있다. 적어도 게임 크리처의 생김새에 대한 자유도는 무한에 가까울 정도로 다
양
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 진화할 때마다 기존의 모습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신할 수도 있다.그런데 이쯤 되면 ‘진화’라는 거창한 설정은 다소 낯 뜨겁게 느껴진다. 결국 ... ...
‘텔미’ 춤추는 로봇에서 온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잡고 물을 마시는 행동이나 부엌에서 칼질을 하는 동작을 취하기도 한다.“마루-M이 다
양
한 동작을 제법 잘 따라하는군요. 부품 수천 개로 이뤄진 로봇이 이처럼 멋지게 작동하는 게 놀랍지 않습니까.” 마루-M이 모델의 동작을 따라하는 모습을 멀찌감치 서서 바라보던 유범재 단장의 입가에 흐뭇한 ... ...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사고의 틀을 깨는 개척자이기 때문이다. 기존 사고의 틀 안에서는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
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를 찾으려면 사고 자체를 확장시켜야 한다. ③하지만 일반적인 노력으로는 사고를 확장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발상이 필요하다. 케쿨레가 꿈에서 본 뱀과 벤젠고리가 그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