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d라이브러리
"
부족
"(으)로 총 4,21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제1후보다. 지구는 인간의 왕성한 생산력을 감당하기에 역
부족
이다. 자원은
부족
하고 환경은 오염되고 교통량은 넘쳐 흐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일의 돌파구는 '우주로의 이동'이다. 그 첫번째 도착지가 달이 될 것은 너무나도 분명하다.현재 우주개발의 최대 난점은 개발비용이다. ... ...
'과학기자재 보내기 운동'을 다시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것이 아니다. 그러나 명백한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실험교육강화라는 '이상'(理想)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번번히 뒷전으로 밀려야했던 것도 사실이다.이번의 '과학기자재보내기운동'은 바로 이런 현실때문에 그 의미가 더 각별할 수밖에 없다. 비록 목표로 한 모금액을 다 채우지 못한다해도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바다의 생물, 열대우림(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지방의 삼림)의 생물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족
한 실정이다. 아마도 분류학자들이 제대로 연구하기만 한다면 신종이 수두룩하게 발견될 것이다.실제로 동물에서만도 매년 1만종 이상의 신종이 발표되고 있다. 몸이 큰데다가 날아다니기까지 해서 눈에 잘 ... ...
멸종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겨우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는 경작지가
부족
해 성(省)정부나 농민들이 모두 대나무숲을 잘라내고 거기에 논밭을 일구어야 할 상황이다.많은 동물전문가들은 판다에게 가장 좋은 생활환경은 동물원이 아니라 야생상태라고 얘기하지만 야생판다보호회는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1993년에야 전력계통에 투입되어 전기를 공급할 예정이기 때문에 금년과 내년에는 전기의
부족
현상이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국민 모두가 전기를 아껴 쓰고 앞에서 소개한 여러가지 절전기술들을 적극적으로 활용 한다면 이러한 어려움도 슬기롭게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력공급이 아무리 ... ...
정부출연 연구소 부처찾기 그 내막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수정할 시점에 와있다.60, 70년대의 정부출연연구소들은 기업과 대학의 연구개발 능력
부족
으로 산업계에 대한 기술지원을 맡았고, 80년대에는 중소기업 기술지원과 첨단기술개발이 임무였다.그러나 우수공학센터(ERC)와 우수과학센터(SRC) 등 우수연구집단의 집중 설치로 대학의 연구기반이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단계의 전이가 모두 신속하게 이뤄져 화석화될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는 얘기는 설득력이
부족
하다. 또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해 쉽게 도태돼 버리는 생물을 통해 어떻게 그 많은 종이 분화돼 나올 수 있을지 심히 의심스럽다.선캄브리아기 지층에서 화석이 발견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사용증가 속도를 따라 잡지 못하고 있다. 이미 해양이 이산화탄소의 균형을 잡기에는 역
부족
인 상태다. 작년 현재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는 50W/㎡이고 1860년 이래 매년 1.3W/㎡씩 증가해 왔다고 한다.대기대순환모델의 예상대로 매년 1.5ppm의 이산화탄소가 증가한다면 2035년의 대기는 4백20ppm의 ... ...
세계 최초의 로봇의사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받겠다고 나선 지원자가 2, 30명에 이르고 있어, 임상실험을 할 때 흔히 겪게 되는 지원자
부족
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벌써부터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는 셈이다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1982년의 수색작업에는 2백m급 일본 유인잠수정까지 동원됐으나 열악한 조사 장비와 경비
부족
으로 지속적인 탐사가 이루어지지 못 했다. 울릉도 주변 해역의 해저 저층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연안 가까운 곳에서 침몰 했다 하더라도 해류나 다른 자연환경에 의해 깊은 곳으로 내려앉았을 가능성이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