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소모와 폐기물이 만든 현대의 암세포 도시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해결책으로 등장한 것이다. 교통운수망의 정비, 전화나 전파를 사용한 정보통신망의
발달
, 거기에 가스나 전기 등 에너지의 새로운 공급 시스팀 확립등이 그 급선무다. 미국,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는 이런 문제가 지금 적극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인류의 미래사회는 사이버네틱스 ... ...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형성된 고층습원이라는 점이 다른 보통의 늪과는 상이한 것이다. 고층습원인 큰용늪의
발달
과정에 대한 성인론적인 연구는 아직 행해진 바 없었으나, 최근 필자에 의해서 시도되었다. 습원의 형성과정과 또는 성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간격, 일정한 방향으로 늪의 표면에서부터 최하층의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유전공학이 몰고올 ‘제2의 농업혁명’ 이처럼 화학비료가 사용되고 농업기계가
발달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구의 가족을 먹일 식량은 부족한 실정이다. 제네바에 있는 세계식량협의회의 발표에 따르면 식량의 절대량과 불균형된 생산으로 볼 때 현재대로라면 앞으로 10년 사이에 제3세계에서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있다. 정자체는 원추형(円錐型)의 정교한 렌즈이고 홍채세포는 제1과 제2색소세포로 잘
발달
되어 있다. 움직이고 있는 어떤 상을 볼때 낱눈 하나 하나가 다음에서 다음으로 그상을 연결하기 때문에 움직이는 어떤 상을 알게 되는데 아주 효과적이다. 이렇게해서 곤충은 생활목적과 자신의 보존등 ... ...
아프리카 코끼리의 기이한 습관 왜 어두운 동굴을 찾을까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것으로 아프리카 코끼리는 수컷이나 암컷 모두에 있으며 사자나 늑대등의 송곳니가
발달
한것과는 전혀 다르다. 일생동안 계속자라 지금까지의 최고 기록은 길이 3.45m, 무게 1백17kg 이나 되는것이 있다. 그러나 단단한 에나멜 질은 끝부분 뿐이고 나머지는 비교적 부드러운 상아질이므로 끝부분이 ... ...
컴퓨터 문화의 기수 워드프로세서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거의 모든 지식들을 종이에 담아 후세에 전했으며 방대한 양의 지식들은 인쇄술의
발달
로 인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이런 인쇄술을 직접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오랜 세월 동안 연필과 같은 필기구가 애용되어 왔다. 그러다가 타자기와 복사기가 ... ...
인류는 어떻게 변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내장 기관은 성능좋은 엔진처럼 호흡으로 흡수한 산소를 최대의 효율로 소비하도록
발달
될 것이다. 호흡량의 증가를 위해 횡격막의 활동이 보다 쉬어질것도 예상할 수 있다.이상의 것은 물론 예측에 불과하다. '불과' 4만5천년 전에 있었던 현생인류의 진화의 마지막 단계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다녀왔다. 수산대학의 원양실습은 단순한 '실습'의 차원을 넘어 우리나라의 원양어업
발달
에 큰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 좋은 예가 1966년의 제1차 실습항해. 당시 수산청의 지원하에 북양(北洋)의 연어·송어어업 및 트롤어업에 대한 조사활동을 벌여 한국원양어업의 신기원을 열었다. 그후로 ... ...
구조색인가 색소색인가 나비의 정체를 밝힐 열쇠는 비늘의 빛깔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엿볼 수 있는 것이다. 고고학 생물학 고생물학 전자현미경의 기술 등등 자연과학의
발달
은 과연 어디까지 과거의 신비를 벗겨줄 수 있을 것인가. 나비비늘의 발견을 계기로 우리의 학문수준이 계속 높아지길 기대해본다 ... ...
현대과학이 못 푼 미스터리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달
에도 불구하고 자연은 아직 그 궁극적인 비밀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그러나 소립자의 세계로부터 우주의 미래까지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조만간 나올 것으로 보인다. 물질, 인간, 진화 그리고 우주의 비밀에 도전하는 과학의 최전선을 알아본다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