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수 있다면 뇌의 기능도 정상이 될까? 일반적으로 뇌의 리듬처럼 자율신경계가 조절하는
몸
의 기능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미국 예일대의 밀러 박사는 내장이나 심장의 근육처럼 우리 의지로 조절할 수 없는 근육(불수의근)이나 자율신경계도 조건에 따라 우리 의지로 ... ...
Intro. 동물의 털, 인간의 털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호랑이는 갖고 사람은 가지지 못한 그것, 털. 하지만 그런 사람도 한시도
몸
에서 놓지 못하고 옷으로 만들어 털을 입는다. 오늘날 우리는 ‘털 없는 원숭이’에서 ‘털 입은 원숭이’가 됐다. 겨울, 다시 털의 계절이 됐다. 털은 왜 인간을 떠났나. 그리고 왜 다시 인간에게 돌아왔나.▼관련기사를 ... ...
Part 2. 털 벗은 인간, 다시 털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떨어진 잔털을 섞어 쓰기도 한다.오리 대신 거위를 쓰는 경우도 있다. 거위는 오리보다
몸
집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다운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가지털이 달리는 마디와 마디 사이가 오리털의 2배 정도로 길다. 그만큼 공기가 들어갈 공간이 많아 오리털보다 따뜻하다.털도 다이어트 한다원래 ... ...
Intro. 70가지 애매한 과학질문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자! 요거 애매합니다~잉! 여러분들 사랑이 식어서 헤어지는 건 우리가 어떻게 말릴 수가 없는 거예요. 그런데 과연 이별을 어떻게 해야 쓰레기가 안되는지! ... 04 아리송한 건강 정보과학애정남 05 헷갈리는 느낌과학애정남 06 알듯 모를 듯 우리
몸
과학애정남 07 과학 때문에 생긴 애매한 ... ...
과학애정남 02 애매모호한 속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70가지 애매한 과학질문과학애정남 01 애매한 연애 문제과학애정남 02 애매모호한 속설과학애정남 03 자연의 애매한 기준과학애정남 04 아리송한 건강 정보과학애정남 05 헷갈리는 느낌과학애정남 06 알듯 모를 듯 우리
몸
과학애정남 07 과학 때문에 생긴 애매한 문제들 ...
과학애정남 04 아리송한 건강 정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70가지 애매한 과학질문과학애정남 01 애매한 연애 문제과학애정남 02 애매모호한 속설과학애정남 03 자연의 애매한 기준과학애정남 04 아리송한 건강 정보과학애정남 05 헷갈리는 느낌과학애정남 06 알듯 모를 듯 우리
몸
과학애정남 07 과학 때문에 생긴 애매한 문제들 ...
과학애정남 06 알듯 모를 듯 우리
몸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70가지 애매한 과학질문과학애정남 01 애매한 연애 문제과학애정남 02 애매모호한 속설과학애정남 03 자연의 애매한 기준과학애정남 04 아리송한 건강 정보과학애정남 05 헷갈리는 느낌과학애정남 06 알듯 모를 듯 우리
몸
과학애정남 07 과학 때문에 생긴 애매한 문제들 ...
아기와 생쥐, 같은 걸음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연구팀은 신생아의 신경계가 발달할 때 나타나는 보행반사에 주목했다. 보행반사는 아기
몸
을 일으켜 세워 발바닥을 바닥에 닿게 했을 때 아기가 마치 두발로 걷는 것처럼 발을 떼는 행동을 말한다. 생후 일주일 후부터 약 3주 동안 나타나는데, 발을 딛고 엉덩이 관절과 무릎을 굽혀 발을 반대편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내부’이지만 위상기하학적으로 관찰해 보면‘
몸
의 외부’인 셈이다. 즉 정말 우리
몸
속 소화기관은 겉과 속의 구분이 없다!이처럼 위상기하학은 사물을 좀 더 유연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사실 요즘은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다. 자칫 잘못하면 새로운 변화만 쫓기도 바쁜 세상이지만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속의 대응되는 입자와 부딪혀 소멸한다. 이때 생성하는 에너지에 의해 시간여행자의
몸
이 찢기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아이디어의 기원영국의 물리학자 폴 디랙은 1928년 수소원자의 상대론적 양자이론을 발표하면서 전자에 대한 반입자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1932년 미국의 물리학자 칼 앤더슨은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