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떨어져 나가서 생긴 틈은 ‘젯소’(gesso)를 이용해 메운다. 젯소는 토끼에서 추출한
동물
성 단백질인 토끼아교와 석고가루를 물에 개어 만든다. 젯소를 데워서 물감 틈 사이로 흘려 넣으면 식으면서 점점 굳는다. 튀어나온 젯소는 칼로 긁어 물감 부분과 높이를 맞추고 색을 입힌다. 주변 부분을 ... ...
엑스맨탄생 울버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속 주인공 같은 돌연변이들이 나타날지도 모른다. 그러나 현재의 유전자 연구 수준은
동물
을 복제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의 유전자 위치와 염기서열이 밝혀졌지만 어떤 유전자가 정확히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아직까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의 의학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손가락질을 한다. 배가 꼬리 모양으로 짧게 퇴화한 데서 나온 표현이다. 사람이나
동물
이 괴로울 때 흘리는 침을 게거품이라고 부르며, 음식을 빨리 먹을 때 ‘게 눈 감추듯 한다’라고 비웃는다. 이렇듯 게에 대해서는 좋은 말이 별로 없다.그러나 그림 속에 나타난 게는 그 의미가 정반대로 ... ...
[의학] 살아 있는 심장으로 만든 ‘수술 실험용 시스템’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실험하는 동안 돼지가 죽을까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그렇다고 살아 있는
동물
로 실험하는 단계가 지금 당장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버크너 교수는 “이 시스템은 이론적인 논리와 실제로 도입하는 수술의 중간 단계로 수술 후 후유증도 확인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 ...
블루베리, 베리 굿!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진행하고 있다.그런데 이런 실험들은 대부분 고농도의 블루베리 추출물을 질병에 걸린
동물
이나 배양한 암세포에 처리해 얻은 결과다. 따라서 이런 효과가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식품으로 섭취했을 때도 나타날 수 있을까. 서 교수는 “물론 그런 측면이 지적되기도 한다”며 “그러나 소량이라도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노력 중이다.지난해에 열린 제3회 ‘한국 자생생물 세밀화 공모전’의 대상은
동물
이 아닌 식물에 돌아갔다. 서울대 미대에 다니는 이주영 씨가 그린 ‘두메부추’다. “두메부추(Allium senescens)는 양파와 비슷하게 매운 향이 강하다”는 이 연구관의 설명을 들으며 그림을 보고 있노라니 특유의 매운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 바이러스가 고병원성인 이유를 밝히는 실험에 착수했다. 물론 사람이 아니라 실험
동물
인 생쥐가 희생양이 됐다. 연구자들은 생쥐를 두 집단으로 나눠 한쪽은 평범한 독감 바이러스를, 한쪽은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어떻게 되는지 관찰했다.2006년 10월 5일자 ‘네이처’에 실린 ... ...
1억 년 전부터 흰개미와 미생물 공생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밖으로 나오면 죽는다. 물론 미생물이 뱃속에 없다면 흰개미 역시 굶어 죽는다. 바로 두
동물
이 서로 공생 관계에 있다는 증거다.그는 “만약 흰개미에게 나무를 소화시키는 능력이 있었다 하더라도 뱃속의 미생물은 소화 능력을 더 향상시켰을 것”이라며 “결국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방향으로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점에서 이들 터미네이터가 인간보다
동물
과 비슷하다는 평가를 내린다. “2020년 휴머노이드 실전 투입”실제 전투로봇의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미국 포스터-밀러 사가 개발한 이동로봇 ‘탤런’이 기관총이나 유탄발사기를 장착하고 도시지역에서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유 중 하나도 바로 통제할 수 없는 소닉붐이었다. 콩코드는 소닉붐으로 인해 사람과
동물
이 사는 지상이 아닌 대서양 횡단 노선에서만 운용됐다.소닉붐은 비행기가 초속 340m인 음속을 돌파하는 순간 생기는 현상이다. 풍선 안에 있던 제트기가 풍선(소리 벽)을 찢고 앞으로 나오면서 생기는 ‘뻥’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