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6. 재미가 두뇌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있음을 증명한 연구였다. 게임이 현실 도피욕와 고독을 함께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
을 제시한 첫 연구였다.게임은 이와 함께 학습 인지발달에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미국의 심리학자 그린필드는 게임을 ‘문화적 도구’로 간주하고 이를 통해 첨단 기술에 좀더 친숙해질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를 ... ...
전자제품 연쇄 폭발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그러나 제품 설명서에는 제품을 눕혀 사용하지 말라는 권고 사항이 적혀 있다. 사고
가능성
에 대비해 주의사항을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의 경우 사용자가 모기향을 콘센트에 꽂아둔 채 오랫동안 사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잇따른 생활 제품 관련 피해 사고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 ...
블랙홀 둘러싼 거장과 신인의 싸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존재할 수 없음을 보여주기 위해 직접 나섰다. 슈바르츠실트가 블랙홀의 이론적 존재
가능성
을 보여주기 위해 구성한 별 모델이 몇가지 기술적인 측면에서 일반상대성이론에 부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1939년 수학연보에 ‘중력에 이끌리는 다체로 구성된 구상균형을 이룬 정지계에 대하여’ ... ...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이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반갑습니다’ 보다 ‘방가방가’ 가 더 쉽게 다가갈
가능성
도 없지 않다. 이런 괴상한 인터넷 언어가 일상어보다 더 빨리 떠오른다면 분명 인터넷 언어가 네티즌의 마음에 자리잡았다는 증거인 셈이다.특히 커뮤니티 중심의 사이버 공간에서 이런 경향은 더욱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앞으로 로봇은 인간에게 유용한 특정한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식으로 발전할
가능성
이 가장 높다.로봇 딜레마의 해답은 인간의 뇌하지만 생각하는 로봇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KAIST 뇌과학연구개발사업단장인 이수영 교수는 “똑똑하지 않은 로봇은 미래에는 ... ...
허술한 혈액 공급망 긴급 진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반대로 항체가 아직 형성되지 않은 기간, 즉 잠복기에 검사할 경우 가짜 음성을 나타낼
가능성
이 있는 건 더 큰 문제다. 에이즈에 감염됐지만 항체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음성으로 판정하게 된다는 얘기다. 개인차는 있지만 잠복기는 에이즈의 경우 20-30일, B형간염은 50-60일, C형간염은 80-90일 정도로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다른 한편 운동선수들이 이 유전자를 주입해 근력을 향상시킬
가능성
이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이른바 ‘유전자 도핑’ 시대가 열릴 수 있다는 것.서울대 생명과학부 김선영 교수는 “생쥐를 상대로 근육을 강화시키는 유전자를 주입한 결과 불과 이틀 만에 근육에서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있다는
가능성
을 제시한다. 하지만 근대적 사고방식에 젖어있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런
가능성
을 보고 ‘지킬박사와 하이드’ 와 같은 정신분열을 떠올린다. 두렵고 불안한 심리 상황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런 심리 반응은 우리가 사이버 공간에서 만드는 또다른 마음의 실체를 인정하지 못하게 ... ...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작은 블랙홀이 형성됐다가 순식간에 빛알갱이나 다른 입자로 붕괴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
이 제시됐다. 이들 작은 블랙홀의 존재는 측정되는 빛알갱이나 입자들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므로 호킹 복사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시할 수 있을지 기대된다. 만약 호킹 복사가 실험에서 확인이 된다면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고구려인은 왜 북두칠성을 그토록 사랑한 것일까.김 박사는 “불교나 도교의 영향일
가능성
이 높다”고 말한다. 장천1호분에 묘사된 3개의 북두칠성 가운데 하나는 앞칸 안쪽 천장부분에 묘사돼 있다. 일명 칠성단이라 불리는 단상에 수염을 기르고 상투를 튼 인물이 자리를 잡고 있는데, 그 단상의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