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다음다음"(으)로 총 6,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2019.02.12
- 이솝우화에서 다리 위를 지나가던 개가 물고 있던 고깃덩어리를 떨어뜨린 건 개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자기라고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우리가 발견하는 인지능력은 모두 다 처음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오래되고 더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 프란스 드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③컴퓨터와 대화하는 법2019.02.11
- “헬로, 월드(Hello, world)!”를 출력하는 간단한 C 프로그램과 실행 과정. 1978년 출판된 《The C Programming Language》의 첫 예제로 소개됐다. 전산학 교과서로 널리 사용되는 이 책의 저자 데니스 리치는 C 언어 창시자이기도 한데, 2011년 그의 죽음을 맞이한 전 세계 개발자들은 “굿 바이, 월드(Good bye,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쇠똥구리에겐 똥이 복지고, 권리다 2019.02.10
- 동물의 마음을 읽는 법 동물도 마음이 있을까요?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알고 보면 논란이 적지 않습니다. 논란의 한쪽 끝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는 마음 같은 것이 전혀 있지 않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오직 정해진 대로 움직이는 로봇에 가깝다는 것이죠. 그러나 정반대의 주장 ...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이길 '감자 2.0'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9.02.10
- 사이언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남미 서부의 안데스 산맥에서 자라는 알록달록한 토종 감자들을 이달 8일자 표지에 실었다. 라이오네스, 튜니카, 타르메냐 등으로 불리는 이 감자들은 수천 년 동안 고지에서 살아온 야생종들이다. 주변에서 흔히 보는 노란 감자와 달리 붉은 빛을 띤 감자들의 ... ...
- 척수손상, 파킨슨병 줄기세포로 치료한다…日 잇따라 임상시험 승인동아사이언스 l2019.02.08
- 척수손상 환자의 척수 자기공명영상(MRI) 영상. 최근 일본 정부가 척수손상 치료용 줄기세포치료제의 상용화를 조건부로 승인했다. 네이처 제공 파킨슨병(퇴행성 뇌신경 질환), 빈혈 등 난치성 질환에 줄기세포 치료를 적용하려는 새로운 임상시험이 속속 승인을 받으면서 의약계의 발걸음도 빨라졌 ... ...
- “잊혀진 우리 괴물 ‘강철’을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9.02.05
- 곽재식 작가가 펴낸 '한국 괴물 백과' 속 괴물의 하나인 강철. 가장 인상적인 한국 괴물을 묻는 질문에 곽 작가는 강철을 꼽았다. 조선 후반기만 해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괴물이었고, 1950년대 신문기사에까지도 등장하지만 수십 년만에 대중의 기억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곽 작가는 " ... ...
- 실험기간만 ‘500년', 인간수명 넘어서는 과학프로젝트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2019.02.04
- 동결 건조된 박테리아를 확대한 모습. 박테리아의 수명을 밝히기 위한 500년간의 초장기 연구 프로젝트의 첫 분석 결과가 지난해 12월 발표됐다. - 유튜브 캡처 2514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 이곳에 들어온 생물학자 가운데 누군가는 500년 된 건조 박테리아를 꺼내 키우기 위해 영국 런던으로 가 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친구가 없는 이유2019.02.02
- 1) 대화가 잘 통하는 사람을 만난다 2) 연락처를 교환 3) “정말 즐거운 시간이었어! 역시 그 사람은 날 싫어하는 게 분명해.” 잘 되어가고 있다는 증거들을 싹 무시하고 그 사람은 날 싫어한다고 생각한다 4) 절대 먼저 연락하지 않는다 5) 고독사 Sarah Andersen. (2016). “Adulthood is a myth” 중에서. 아 ... ...
- "‘사이언스온’ 과기정보의 길라잡이될 것" 동아사이언스 l2019.02.01
- 최희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원장이 1월 29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본보와 만나 ‘사이언스온(ScienceON)’의 취지와 운영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국가 차원에서 슈퍼컴퓨터와 연구 데이터 공유 플랫폼 같은 다양한 과학기술정보 서비스를 도입했지만 ... ...
- 로봇의 다음 정복대상은 '젠가'동아사이언스 l2019.01.31
- 알베르토 로드리게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젠가를 스스로 배우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이달 30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젠가 학습용 로봇팔의 모습. 알베르토 로드리게스 교수 연구팀 제공 로봇이 바둑 두기, 피아노 치기, 잘 부스러지는 두부 집기에 이어 이번에는 ... ...
이전3543553563573583593603613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