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개발"(으)로 총 25,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ETRI, CDMA 상용화 공로로 IEEE 마일스톤 등재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양승택 전 정보통신부 장관과 박항구 소암시스텔 회장의 축사, 한영남 KAIST 교수의 CDMA 개발 역사 소개 등의 프로그램이 이어졌다. ETRI 7동 명예의 전당에 CDMA 상용화 기술 IEEE 마일스톤 등재 기념 동판을 다는 현판식도 진행됐다 ... ...
- 잡아당겨도 고해상도 유지하는 OLED 디스플레이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왼쪽부터 유승협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이동균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 문한얼 동아대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늘려도 화면이 일그러지거나 ... 실린더, 인체 부위와 같은 곡면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한다"고 말했다. KAIST 연구팀이 개발한 디스플레이 개념도. KAIST 제공 ... ...
- 정부, 마약중독·자살 예방 R&D 등 보건의료기술에 2조2097억원 투입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국내 유입 및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AI 기반의 감시·예측 플랫폼 및 진단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시행계획 이행을 위한 R&D에 약 2667억 원을 투자한다.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민·관의 여러 주체가 협력해야 하는 바이오 분야에서는 함께 머리를 맞대고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 ...
- 美 첫 소형원자로 짓는 '테라파워', 2030년 가동 목표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대신 액체 나트륨(Na)을 사용하는 차세대 SMR의 건설 허가를 신청했다. 국내에서도 활발히 개발 중인 소형모듈원자로(SMR)는 기존 대형 원전과 비교해 전력 출력량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인 차세대 원자로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가동 중인 대형 원전은 대부분 핵연료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는 ... ...
- 희귀 소아암 치료 방사성의약품 원료, 국내 첫 GMP 허가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원료의약품 제조 시설 및 인프라를 활용해 수입 의존도가 높은 다른 방사성원료의약품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영욱 하나로양자과학연구소장은 “고품질 방사성의약품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국내 방사성의약품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다양한 방사성원료 및 ...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수 있어 초저온 환경에서만 구동하던 기존 양자컴퓨터의 한계를 넘은 '상온 양자컴퓨터' 개발의 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양승모 KRISS 양자자기센싱그룹 선임연구원은 "최근 인공지능(AI)의 발전과 함께 전력 수요가 폭증하며 초저전력 반도체 소자의 필요성이 커지는 추세"라며 "스커미온 제어 ... ...
- 의정갈등 4개월…KAIST·포스텍 등 과기의전원 설립 향방은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입시 정원이 사실상 확정된 후에도 강대강 대치국면이 장기화 조짐이다. 의학과 신약 개발 분야 등에서 경쟁력을 높일 의사과학자 양성을 내세우며 KAIST 등 과학기술원이 추진한 과학기술의학전문대학원(이하 과기의전원) 설립이 관심의 뒷전으로 밀려난 모양새다. 과기의전원 신설을 위한 정원 ... ...
- [의학바이오게시판] 분당서울대병원, 방사선 치료 필요성 예측 모델 '세계 최초'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6.10
-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 필요성을 평가하는 예측 모델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김기동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폐경 전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전 예측된 위험도에 따라 난소전위술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서울대치과병원은 ... ...
- [과기원NOW] 이재석 GIST 명예교수, 일본고분자학회 국제상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4.06.10
- 구축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AI정책전략대학원 멘토 프로그램 개발·제공 외 기술지원, 클라우드 컴퓨팅·AI 기반 연구·교육 지원, 프로젝트를 위한 AWS 채택과 활용, 양자컴퓨팅과 AI 관련 연구 수행 등이다 ...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6.10
- 연구를 수행해 선택적으로 열처리가 가능한 '나노초 펄스레이저 어닐링 공정'을 개발했다. 355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의 짧은 파장의 빛이 머리카락 굵기의 2000분의 1 정도의 깊이까지만 침투했다. 강유전체를 가공하는 데 필요한 열에너지가 하부 회로까지 전달되지 않았다. 레이저 기술을 ... ...
이전3543553563573583593603613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