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또 이순신 장군이 만든 거북선은 불과 연기를 뿜지 않았어요. 대신 ‘현자총통’이라는 작은 대포를 설치해 입을 벌린 뒤 적선을 향해 대포를 발사했답니다. 거북선은 2층일까, 3층일까?이순신 장군이 만든 거북선 내부 모습은 어땠을까요? 배 안에는 이동을 위해 노를 젓는 공간과 적군을 공격하는 ...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수학아트전 예술로 변한 수학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만든 도형이다. 아폴로니우스는 세 개의 원이 서로 맞닿아 있을 때 가운데 빈 공간에 작은 원 하나와 세 개의 원을 둘러싼 커다란 원 하나를 반드시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 원리를 이용해 원을 그리면 아폴로니안 개스킷이 만들어진다. 아폴로니안 개스킷을 포함해 신비로운 원을 주제로 ... ...
- 수학으로 명중! 사격과 양궁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않도록 하는 데에도 평평하고 단단한 재료로 된 신발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역도화는 작은 흔들림도 점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격 선수가 무게중심을 잘 유지하도록 도와 준다.반면 양궁 선수에게는 골프화가 안성맞춤이다. 골프는 보통 한 경기에 7km 이상, 1만 4000걸음을 걸어야 하는 경기다. 이 ...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보아 실제 이렇게 작은 수는 자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큰 수와 마찬가지로 작은 수도 19세기 이후부터 진 이하의 관계도가 변했다. 현재 진은 10-9, 애는 10-10, …, 육덕은 10-19, 허와 공을 합쳐 허공(10-20), 청과 정을 합쳐 청정(10-21)이라고 나타낸다.탄지부터 정까지는 역시나 불교에서 유래된 .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게르니카는 피카소의 1937년 작으로, 1937년 4월 26일 스페인의 작은 도시 게르니카를 독일군이 무차별 공격해 1500여 명의 사상자를 낸 사건에 대한 분노를 표현한 작품이다.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 수학적 비밀이 있다.먼저 게르니카의 구도는 완벽한 대칭 구조를 이루고 ... ...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을까?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무한대다. 그런데 이 문제를 실제로 사람들에게 내면, 대부분 이 내기에 1원보다 작은 돈을 내더라도 참가하려고 하지 않는다.이렇게 기댓값이 무한해도 사람들이 참가하지 않는 것을 두고 다니엘은 기댓값이 단순한 금액이 아닌 한계효용의 합, 즉 총효용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부의 ...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화성 모래폭풍이다. 시속 160km로 달려오는 모래바람이다. REMS가 요동친 이유다. 두 개의 작은 기둥이 모래 폭풍에서 만들어지는 공기의 흐름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래야 나중에 인간이 화성에 올 때 모래 폭풍을 견딜 수 있는 우주복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악착같이 버틸 것이다. 안타깝지만 ...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몸은 작지만 튼튼하고 지구력이 뛰어나다. 참고로 조랑말은 품종 이름이 아니라 키가 작은 말로 세계승마연맹의 기준에 따르면 148cm 이하일 때 조랑말로 분류한다. 제주마는 13세기 몽골이 고려를 정복한 뒤 제주도에 데려온 몽고말에 과하마로 불리는 토착 조랑말의 피가 섞이면서 토착화한 ...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주로 눈으로 정보를 파악하는 동물인 우리는 탐구 대상이 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세계(원자)가 되자 혼란에 빠졌다. 불과 130년쯤 전, 음속의 단위로 우리와 친숙한 유명한 물리학자 에른스트 마흐(마하라는 단위가 여기서 나왔다)는 “원자는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과학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 ...
- 동아리 활동으로 리더십, 학습, 봉사까지 OK!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한다. “친환경적이면서도 자전거보다는 휴대하기 편하고, 파워슈트(동력형 외골격)처럼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낼 수 있는 이동·운송 수단을 만들고 싶어요. 택배 아저씨나 일반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기계공학을 배우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라고 ... ...
이전3543553563573583593603613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