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데이터
데이타
정보
data
소식
컨텐츠
내용
d라이브러리
"
자료
"(으)로 총 4,772건 검색되었습니다.
날로 심각해지는 오존구멍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더 많은 의미를 갖고 있는 한장의 그림이 있다. 지난 3월 미국국립기상청(NOAA)에서 제공한
자료
를 바탕으로 작성된 이 지도는 북반구에 생성된 오존 구멍이 심각한 정도로 뚫려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파란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1979년부터 1986년까지 관찰된 평균값에 비해 오존량이 20%나 감소된 ... ...
4. KAIST 해커 구속 사건이 남긴 이야기 "배우면 써보고 싶은 게 사람심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전했다. 가깝게는 작년 11월에도 KAIST의 대표적 BBS인 CSQUEEN에 해커가 침입해 두달치
자료
를 몽땅 날린 경험이 있지만, 이런 일이 워낙 잦은데다 마땅히 신고할 만한 창구도 없어 학생들 스스로가 복구하는 선에서 일을 마무리했다는 것이다.이번 일만 해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박씨에 따르면 ... ...
'인공생명'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인공생명의 특징을 보다 많이 충족시키는 것은 컴퓨터 바이러스다. 비록 주위로부터
자료
를 받는 센서와 행동 기능이 단순하긴 해도 컴퓨터 바이러스는 컴퓨터 운영체제라는 환경과 반응해 자기 자신을 변형하거나 복제해 자손을 만든다. 또한 컴퓨터 바이러스는 매우 복잡한 행동을 보이며 때로는 ...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무기호흡을 하는 효모도 산소의 공급이 원활할 때 산소호흡을 하기도 한다. 탐구활동(
자료
해석)숨을 참고 얼마나 버틸수 있을까어린 동생이 숨을 참고 있다고 하더라도 혹시 죽을까 걱정할 필요가 없다. 얼굴이 창백해질지 모르겠지만 그 이상 별다른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왜 걱정을 하지 ... ...
3. 해커막는 첨단 보안기술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나누는 등의 정책을 세운 후 일회용의 쓰기 전용 매체를 이용해 실시해야 한다. 중요한
자료
에 대해서는 항상 암호화해 저장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될 일이다.인터넷을 통한 상거래가 확대 일로에 있는 요즘의 상황을 보자면 앞으로는 금전적인 이익을 노린 해킹이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
허블우주망원경 6주년 생일파티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HST)이 발사된지 6년이 지났다. 그동안 STScI(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에서 발표된
자료
는 국내에서도 굵직한 뉴스들을 제치고 신문 1면을 화려하게 장식하곤 했다. 그런가 하면 천문학과 교수들은 전공과목의 강의노트를 자주 손봐야 했다.허블우주망원경은 그동안 지구를 약 3만7천번을 돌면서 ... ...
한국최초 홀로그램 표지 탄생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공룡은 누구나 좋아하는 즐겨볼 수 있는 이미지라는 의견이 마지막 결선에 올랐다. 기초
자료
가 수집되면서 미술기자들의 손이 바빠졌다. 비로소 아름다운 영상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 작업이 시작된 것이다. 홀로그램의 입체감은 레이저의 간섭효과에 따라 일어나기도 하지만 여러 물체들의 위치를 ... ...
팩스, 동양적 발상의 첨단기기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있는 일본의 경우를 봐도 전송할 데이터 양이 상당히 많은 연구소나 지방 인쇄 분공장에
자료
를 보내야 하는 신문사 등 매우 한정된 분야에서만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일본 업체들중에는 컬러 팩스를 개발해 전시회에 선보이기도 했는데, 실용화에는 G4 팩스만큼이나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
2. 해커로부터 온 편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실행해야만 합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을 빠져나가면 10초 쯤 뒤에 자신에 관한 모든
자료
를 지우게 하는 프로그램을 깔아놓는 것입니다. 물론 그 프로그램마저 자동으로 분해돼 흔적이 없어져야 하구요. 하지만 이것도 요즘은 힘들어졌습니다. 다들 타임아웃을 막기 위해서 강력한 비밀기록 ... ...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두가지 대기가 의미를 잃게되는 시간이 10일 내지 2주일 정도임을 알아냈다. 즉 초기
자료
를 사용해 대기를 지배하는 방정식계를 풀어 결정론적으로 날씨를 예측하는 것은 이 한계를 넘어서면 의미를 잃게되는 것이다. 이 한계를 넘어서면 대기운동은 카오스로 발전하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능해진다.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