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의 비율이 다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두 추의 물질을 달리해
보고
, 비틀림저울보다 더 예민한 비틀림진자를 채용했다. 마침내 이중비틀림진자인 ‘외트뵈슈 진자’를 고안해서 실험한 끝에 1909년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은 10억분의 1의 한계로 동일하다고 발표했다.한편 ... ...
PART1. 대세는 '쿨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이유는 무엇일까. 흰 피부를 가진 사람을 향해 우리는 ‘귀티난다’고 한다. 햇빛을 안
보고
곱게 자랐을 것 같은 이미지를 주는 것이 바로 흰 피부다. 지금이야 이미지라고 말하지 20세기 중반 비키니가 유행하며 일광욕 붐이 일기 전까지 흰 피부는 실제로 상류층의 상징이었다. 검은 피부는 농사 등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잔해로 확인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호수 아래에서 더 큰 파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있지만 지금까진 소득이 없다.환경단체인 그린피스는 “러시아가 체르노빌 원전 폭발과 유사한 참사를 기적적으로 피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피해지역에는 ‘마야크 재처리 공장’과 ... ...
'지지리 마란드러'의 겨울방학 숙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이번에는 무슨 속셈일까? 썰렁홈즈는 의심의 눈초리로 계속 지지리 마란드러를 바라
보고
있었다.“큭큭, 삼촌 삶은 달걀을 병에 넣는 방법 알지? 휴지에 불을 붙인 다음 달걀을 올려놓으면 불이 꺼지면서 달걀이 병 속으로 쏙~! 그런데 이렇게 들어간 달걀을 어떻게 다시 빼지?”병 속에 삶은 ... ...
민주화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심각성을 더하고 있는 최근 현상을 심리과학자들이나 정신건강의학자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반사회적 성향과 강박증, 대응에 대한 공격 성향 강화 등으로 설명합니다. 악플을 반복할수록 다른 사람의 반응에 더 자극적으로 대응하게 되고 이 행동이 반복되면서 중독되는 ... ...
유물위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탄두가 끝내 발견되지 않는다면 테러를 감행했다는 혐의야 벗을 수 있겠지만.’청취
보고
서를 본부에 제출하고, 집으로 돌아가 일찍 잠을 청했다. 머릿속에서는 사진으로 본 그 유물위성의 모습이 지구를 배경으로 뱅글뱅글 돌아가고 있었다.‘그럼 그게 지구의 표지판이라도 된다는 건가? 근처에 ... ...
나로호 볼 때마다 ‘고맙다’ 말했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때 ‘이제 성공했구나’ 싶었지요. 킥모터부터는 자신 있었거든요. 발사를 끝내고
보고
를 준비하는데 ‘위성 속도가 초속 8km를 넘었다’는 메시지가 떴어요. 위성 속도가 8km를 넘으면 실패할 수가 없어요. ‘이젠 됐다’ 싶었지요. 속도나 위성의 궤도만 보면 이번 발사는 상위 1% 안에 들어요 ... ...
친환경 벽지, 만능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바로 가소제다. 주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쓰였지만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유해성이
보고
되면서 DOTP로 점차 대체하게 됐다.이처럼 기존 실크 벽지를 만들 때 주로 사용했던 물질을 인체에 무해한 물질이나 친환경 물질로 대체하는 연구가 이뤄지면서 친환경 벽지가 세상에 나오게 됐다.또 다른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현상을 접하기 어려운 보통 사람들은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상 현상을
보고
도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으면 우리는 어리석은 일을 하게 된다.예를 들어 보자. 뉴턴의 중력 법칙으로는 수성의 공전 주기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사실은 이미 19세기 중반에 잘 알려져 있었다. 이를 ... ...
자폐증을 고칠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이전까지 운동 기능만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과학자들이 자폐증 메커니즘의 큰 그림을
보고
있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어느 유전자에 문제가 있을 때 자폐증이 생기고, 어느 신경회로의 문제가 치명적인지는 알고 있다. 자폐증은 신경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시냅스에서 수용체가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