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붕~, 떠서 달린다! 자기부상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타 보고 원리도 배우고, 게다가 미래의 열차를 컴퓨터로 직접 운행도 해 보다니! 열차
박사
가 된 기분이야.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7월부터 직접 타 볼 수 있다고 하니 꼭 신청해 봐. 아마 마법의 양탄자가 부럽지 않을 거야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만드는 유기물이 될 수 있다.2001년 미항공우주국(NASA) 에임스 연구센터의 임레 프리드만
박사
는 화성의 테라포밍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크루코시다이옵시스(chroococcidiopsis)’라는 박테리아가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이 미생물은 가장 원시적인 시아노박테리아로 극한 환경에서도 잘 ... ...
세균과 수염을 함께 기르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암스테르담대 심리학과의 시몬 리트벨드
박사
와 라이덴대 심리학과의 일리야 반 비스트
박사
팀의 연구도 주목받았다(의학 분야).그들은 롤러코스터를 탔을 때 환자의 감정이 변하는 것과 호흡곤란 증세 사이에 어떤 연관이 있는지 주목했다. 젊은 여성 천식 환자 25명과 보통 젊은 여성 15명이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다”고 말했고, 뇌졸중에 대한 연구를 발표한 미국국립보건원(NIH)의 다닐로 태글
박사
는 “뇌단백질체 지도를 이용해 뇌졸중의 발병을 알려 주는 생물지표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우리나라로서는 뇌단백질체 지도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향후 뇌 프로테옴 연구에서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지도교수 밑에서 집적회로, 광 데이터 스토리지, 정보처리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다.
박사
과정에서는 플라즈모닉스를 이용해 독자적인 연구를 할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새로운 분야이기 때문에 당장 산업에 직접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기술은 없다. 하지만 연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므로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작은 풍력발전기들을 무시하면 큰코 다친답니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존 데비리
박사
연구팀은 풍력발전기들을 잘 배열하면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물고기떼가 무리지어 움직일 때, 한 마리가 움직일 때보다 저항을 더 적게 받는다는 것에서 생각해 낸 거예요. 실제로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다른 특징은 수상한 과학자와 분야가 과감하다는 점이다. 우선 물리학상의 노보셀로프
박사
는 나이가 겨우 36세에 불과한 젊은 학자다. 게다가 선정된 주제는 아직 연구한 지 6년밖에 되지 않은 신생 분야다. 올해 다른 분야의 수상자가 모두 70대 후반에서 80대에 이르며, 생리의학상을 받은 로버트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만일 팔라듐촉매 탄소-탄소 결합 반응법이 개발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됐을까.이태희
박사
는 “탄소-탄소 반응을 일으키는 다른 방법이 있기 때문에 합성 자체가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시간도 더 걸리고 불순물도 훨씬 많이 나올 것”이라며 “구조가 복잡한 분자를 만들 때 이 반응을 안 쓴다는 건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투입하기 위한 장치다. 이번 3차 실험을 위해 1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개발했다. 권
박사
는 “중국의 EAST도 2013년에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ITER 참가국으로서 높아진 위상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국제핵융합실험로 프로젝트 사무국과 국제원자력기구가 한국에 비상한 관심을 갖고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아무튼 지난 10여 년 동안 주커 교수는 오랜 친구인 리바
박사
와 함께 미각의 신비를 밝히는 데 헌신해 왔다. 그는 “신경생물학 연구를 20여 년 수행한 지금에도, 나는 해부현미경으로 초파리의 눈을 처음 관찰했을 때 느꼈던 그런 흥분과 열정을 가져다 줄 만한 발견들을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