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량
우월
탁월
상위
유망
유명
저명
뉴스
"
우수
"(으)로 총 3,8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재영 GIST 교수·김하석 DGIST 교수 최
우수
논문 저자상 수상
2014.09.24
전문 출판사인 스프링거와 국제학술지 일렉트로카탈리시스가 선정하는 최
우수
논문 저자상을 공동 수상했다. 이 교수는 김 교수와의 공동연구로 2010년 6월 ‘유기화합물 변환용 팔라듐‧그래핀 전극촉매 개발연구’를 주제로 한 논문을 일렉트로카탈리시스에 게재했다. 선정위원회는 이 교수 ... ...
서바이벌 ‘과학 독서 배틀’ 첫 개최
2014.09.17
대한 감상을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발표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대상 도서는 2014년
우수
과학도서 17종과 출연연에서 발행한 ‘이지 사이언스 시리즈’ 2종이다. 예선 대회는 9월 15일~10월 17일 온라인에서 진행되며,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팀(2~5명)을 구성해 도서 1종에 대한 독서 리포트를 ... ...
주사로 하이드로겔 맞으세요~
2014.09.17
연구도 소개됐다. 한 교수팀은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광학 특성이
우수
한 주사형 하이드로겔을 개발했다. 이 하이드로겔 안에 인슐린 세포를 넣으면, 빛을 쪼일 때 마다 인슐린이 나오게 된다. 당시 한 교수팀은 이를 이용해 빛을 조사해 몸속에 있는 독성 중금속의 양을 ... ...
캔으로 만든 국내 최고 위성 ‘캔샛’ 탄생
2014.09.16
낙하산을 채용해 캔위성의 낙하시간과 위치를 조종할 수 있게 만들었다.
우수
상에는 한국항공대의 TSSAR팀, 울산과학고의 YYCS팀, 용인신봉고의 CAN팀, KAIST의 W5팀이 선정됐다. 2012년에 시작한 이 대회는 올해 3회째를 맞아 고교부 57팀, 대학부 24팀이 참가했다 ... ...
“바이오벤처 기업가 경험하고 올께요”
2014.09.16
“이번 ‘한-미 BT분야 창조경제 리더 양성사업’을 통해 양성된 국내
우수
한 연구자들이 국내에 돌아와 BT 분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선발된 이창호 POSTECH 박사는 “지도교수가 바이오 벤처를 운영하는 모습을 보고 벤처 기업가의 꿈을 꾸게 됐다”며 이번 사업에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우표 속 세상, 사라져가는 과학기술
2014.09.15
최
우수
작에 선정된 김동민 군의 작품을 담은 우표가 선보였다. 당시 ‘우주과학’ 최
우수
작인 인도 라디카 카크라니아의 작품을 담은 우표도 함께 발행됐다 . 안타깝게도 최근 들어서는 과학기술계를 대변하는 우표 발행 건수가 줄고 있다. 2008년 남극 세종과학기지 20주년을 맞아 발행된 특별우표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전기차는 주행 중에 일체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데다 승차감이나 동력 성능도
우수
해 장점이 많다. 세계 각국의 자동차 업체들이 앞다퉈 전기차 출시에 열을 올리고 있는 까닭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기차 대중화가 이뤄졌다고 보긴 어렵다. 시판 중인 전기차들도 시내 운전용 보조 ... ...
[과학계 소식] ‘2014 청소년 물로켓 대회’ 개최 外
2014.09.03
교수와 미국의 데이비드 푸이(David Pui) 교수의 업적을 기리고자 2006년 제정된 상으로,
우수
한 실적을 올린 관련 분야 과학자들에게 4년에 한 번씩 수여한다. 국내에서 이 상을 받은 사람은 장 연구원이 처음이다. ■ 한국천문연구원은 보름달이 뜨는 8일 추석 당일부터 개기월식이 발생하는 다음달 ... ...
100원 크기 칩으로 10중 추돌 막는다
2014.08.26
“이번에 통신 칩은 고속 인증 및 암호화 기술이 탁월하고 도심에서 통신 성능이
우수
한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앞으로 이 칩을 내비게이션이나 스마트폰 등과 연동할 경우 교통정체가 없는 빠른 길 안내도 가능해 질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차세대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역할을 한 덕분이다. 김 교수는 “최근 개발된 유리 투명전극을 실제 LED에 적용해
우수
성을 입증한 최초 사례”라며 “LED뿐 아니라 태양전지 등 다양한 광전소자의 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