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20,937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보통난이도 ‘청색광(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이 눈의 피로도를 낮추는 데 효과가 있을까요?’(사슴이 님)3월 28일 과학동아 사이언스 보드(www.scienceboard.co.kr) 팩트체크 코 ...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라면 주기적으로 눈을 쉬게 하는 등 스스로 눈 관리에 신경 써야
한
다”고 말했습니다 ...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을 개발하려면 DNA 복제와 복구 시스템에 대
한
기초연구가 필수”라고 강조했다.DNA 복제 과정을 이용하면 새로운 형태의 표적항암제도 개발할 수 있다. 명 단장은 “암세포는 정상세포보다 복제 스트레스에 훨씬 민감하다”며 “암세포의 ATAD5 유전자를 ... ...
[방구석 과학] 끓일수록 깊은 맛이? 가마솥 감바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그런 다음 조리면과 겉면, 뚜껑까지 기름을 골고루 발라주고 습기가 적은 서늘
한
곳에 보관합니다. 가마솥 표면에 기름막이 형성돼 주철이 물이나 산소와 만나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
[비하인드 로켓] 2000억 원 손해배상보험 가입...나로호 발사 허가 떨어지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체조립동에서 발사대로 이동할 준비를 하는 나로호. 뒤편에 걸린 대형 태극기에서
한
국의 첫 우주발사체를 개발
한
... 않는 특수
한
페인트로 1단
한
가운데 발사체의 이름을
한
땀
한
땀 새기며 연구팀 모두는
한
뜻으로 발사 성공을 ...
[스쿨리포트 A+] 생활에서 궁금증 찾아 해결하기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한
학생이 베란다에 둔 양파에서 싹이 나거나 썩는 이유를 아래와 같이 기록
한
뒤 탐구 주제를 정했습니다. 기록 2는 기록 1에서 ‘관찰 일자’라는 요소 하나만을 추가했을 뿐이지만 더욱 구체적인 가설을 설정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처럼 양파 보관 환경을 관찰하고 기록할 때 베란다와 집안 등 ... ...
우리나라는 얼마나 잘 감축하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교훈 삼은 미 산업계는 이번 파리협정 탈퇴를 두고 ‘우리는 여전히 파리협약에 참여
한
다(We are still in)’고 외치고 있어요. 미국 연방정부의 대응과 상관없이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이어가겠다는 것이지요 ... ...
[보드게임] 비법서 개발 정보 모으기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그게 메커니즘 학습이에요. 그 다음엔 많이 만드세요. 종이랑 펜만 있으면 웬만
한
시제품은 만들 수 있어요. 일단 만들어서 플레이해봐요. 처음엔 당연히 재미가 없을 거예요. 이때 그만두지 말고 재미있을 때까지 고치세요. 문제를 수정해나가는 과정이 발전의 핵심이니까요. 완전 처음이라 ... ...
[감수성] 영은…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값을 구할 수 없으니까…영은 나의 인생이다어디로 튈지 모르고 재밌기도 하고 힘들기도
한
인생이다그렇기 때문에 인생은 즐거운 거다 ★ 감수성은 독자가 지은 수학 시로 꾸며집니다. 수학 시를 지어 폴리매스 홈페이지→[매스펀]→[선물이 팡팡]해당 게시물에 비밀댓글로 이름, 학교, 연락처,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강다니엘과 내 마음은 교집합♥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따라서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력을 키우고 싶다면 대상을 분명하게 정의하고 다양
한
조건의 집합을 만들어 포함관계를 따져보는 연습을 해보자. 바로 이렇게. “강다니엘은 ‘2U’에서 ‘가까이 와 내 곁에 널 두고 싶어’라고 했고 나도 강다니엘이 가까이 왔으면 좋겠고 곁에 두고 싶으니 우리 ... ...
[
한
페이지 뉴스] 피부세포를 시각세포로! 눈 먼 쥐 눈 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비라즈 마하토 노스텍사스대 보건과학센터 연구원은 “광수용체가 전혀 없다시피
한
중증의 쥐도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1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doi: 10.1038/s41586-020-2201-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