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변기기 활용법/ 디스켓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다이산 등 약 10여종의 디스켓이 판매되고 있으나 가격이나 신뢰도는 대체로 비슷한
편
이다.지난 해의 경우 대만에서 생산된 불량 디스켓이 대량 유입, 유포되어 많은 사람이 피해를 입었던 적이 있다. 청계천이나 용산의 컴퓨터 전문점을 중심으로 암암리에 판매되었던 이런 값싼 디스켓들은 대부분 ... ...
다시 주목받는 갈륨비소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D램 실리콘 소자 위주의 양산체제를 갖추고 있어 다양한 반도체사업 진출이 어려운 형
편
이다.그동안 과학기술원과 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화합물반도체에 관한 기초연구가 진행됐고 최근 해외에서 이 분야를 전공한 과학자들이 잇따라 귀국해 갈륨비소반도체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지만 ... ...
전국 PC경진대회 개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경우 과기대입시에 1차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다.한
편
소프트웨어공모부문에서는 총 52
편
이 출품된 가운데 교사부 이석한 박범식교사(수원공고)의 공동작품인 '고등학교종합업무처리'와 고등부 김호태군(안양공고 2년)의 '한글출력인터프리터', 국민학교부 윤상훈군(경남진주가람국교)의 '다목적용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주지 않고 해충에만 살충작용을 한다는 점이 장기다.또 당뇨병 간질환 신장질환을 간
편
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진단용 시약도 개발(정태화 박사팀)해냈다. 이 진단시약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아 수출의 길이 열려 있다.고영희박사팀이 개발한 폐수처리용 다기능성 미생물도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유럽에서 가장 큰 도서관중 하나로 꼽힌다.2차대전의 흔적이 곳곳에 도서관 맞은
편
에 보이는 건물이 유명한 베를린필하모니다. 2천2백명을 수용하는 연주홀을 갖고 있는 베를린필하모니는 연주회가 열리지 않는 날에도 수많은 음악애호가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시의 남서쪽으로 높이 1백20m에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방에서 쓰고 있지만, (필자는 현재 연구를 위하여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에 체류중임-
편
집자) 난젠지에 비장된 11세기의 대장경은 아직 볼 수가 없었다. 하지만 이제 그런 아쉬움에는 퍽 익숙해져 있다. 한국의 과학기술사 연구 30년의 길목에서 늘 그래왔기 때문이다.그런데도 사진으로 본 ... ...
페르시아만 사태로 개점휴업에 들어간 KISR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연구실적을 내고 있었다. 1988년 한해 동안에도 국제적인 과학전문지에 논문이 32
편
이나 실리는 등 아랍과학의 선도역할을 자임해왔던 것.이 연구소에서 이룬 성과중 눈에 띄는 것은 사막에서 밀과 채소를 재배할수 있게 한 농업기술이다. 또 모래폭풍과 기름유출 등을 해결,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 ...
포항서 철강기술 국제학술회의 열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10년전부터 경쟁적으로 추진해온 사업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간의 각국 연구 동향이 62
편
의 논문을 통해 한자리에서 발표됨으로써 연구성과를 상호교환해 중복투자를 방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첨단 가전제품 이용도 높이려면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대중화돼 있는 복사기도 마찬가지다. 확대 축소복사나 분할복사기능을 활용하면 훨씬
편
리함에도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 복사를 하다보면 복사지가 중간에 걸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바로 제거하지 않고 그냥 지나쳐버려 다음 사용자를 애먹이기도 한다.이처럼 사무기기 사용에서조차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논문을 내고있다. 특히 전교수는 물(水)구조에 관한 독특한 이론체계를 가지고 1백30여
편
의 논문을 발표, 이 분야 권위자로 세계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화학분야에서 국내 최초의 이학박사인 이태규박사(88)에 대한 얘기를 빼놓을 수 없다. 이제는 그가 노벨상에서 멀리 떨어져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