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겨울에 곤충 보러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이지. 그 옆에는 꼬물꼬물 기어가는 하얀 애벌레가 있었어.
조금
만 있으면 그 옆에 있는 번데기로 변하게 되지. 이렇게 번데기를 거치는 방식을 완전변태라고 해. 여기서는 완전 변태의 과정을 한눈에볼 수 있단다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개 겹쳐 놓은 것과 같은 형상의 약 50kg의 철제 세차(勢車, fly wheel)를 붙인 장치로서 힘이
조금
만 가해져도 수레가 관성의 법칙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데서 이 명칭이 생겼다 입자(粒子)의 관성력과 유체의 점성저항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無次元數)로서 입자의 운동방정식을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끊임없이 연상해 낸다 오염에 관한 강박사고를 하는 경우는 끊임없이 손을 씻고
조금
이라도 더러운 것은 피하려고 한다 또 모든 것을 양쪽 대칭으로 맞추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책꽂이의 책도 대칭으로 꽂혀있어야 하고, 식탁의 위치, 사람의 위치, 수저의 위치 등이 모두 대칭이어야 한다고 느끼고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달이 사진의 구도에서 완전히 벗어나면 도시의 배경을 따로 찍는다.시간과 장소에 따라
조금
씩 다르지만 카메라 조리개(f)를 8~16으로 하고 노출시간을 15~30초 정도로 설정하면 무난하다.이렇게 찍은 사진들을 포토샵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 합성하면 도시의 멋진 야경을 배경으로 달이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고추를 먹고도 태연하다. 왜 그럴까?“조류의 열센서인 TRPV1은 포유류의 TRPV1과 구조가
조금
다릅니다. 그 결과 열은 감지하지만 캅사이신이 달라붙지는 않아 고추의 매운맛을 느끼지 못합니다.”열센서와 통증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는 서울대 약대 오우택 교수의 설명이다. 고추가 씨를 퍼뜨려 ... ...
겨울 바다에 밀려온 검은 재앙 태안 원유 유출 사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방제전문가, 생물영향평가를 하기 위해 모인 과학자의 노력이 모이며 태안의 상처가
조금
씩 아물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겨울 바다에 밀려온 검은 재앙 태안 원유 유출 사고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만드는데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아니면 아주 작은 문제를 해결하느라
조금
지체하고 있을 뿐일 가능성도 있다.벤터 박사는 합성최소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하면 이산화탄소를 다량 흡수해 부탄이나 프로판 같은 연료를 생산하는 균주를 만들어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 ...
꿈을 좇아 하늘을 날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같아야 하는데 같은 모터, 배터리, 프로펠러를 썼는데도 5cm쯤 상승한 뒤 왼쪽으로
조금
씩 기울어졌다. 신효섭(05학번) 군은 “같은 제품을 써도 모터의 추진력이 다르기 때문에 시험비행을 통해 모터의 출력을 조정했어야 했다”며 안타까워했다.기계항공공학부 1~3학년 학생으로만 구성된 불나비는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경찰 5명이 배치됐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경호를 서주었다. 정오를 넘어서자 태양이
조금
씩 가려지기 시작했다.오후 1시 54분이 되자 갑자기 어두워졌고 태양의 모습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일부 햇빛만 달 표면의 골짜기 사이로 빠져 나와 ‘다이아몬드 반지’처럼 보였다. 이때부터는 선글라스를 ... ...
타자는 젖은 야구공을 싫어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사용하는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팀 ‘콜로라도 로키스’는 투수를 ‘소나기 안타’에서
조금
이라도 보호하기 위해 2002년부터 상대습도를 50%로 유지한 방에 공을 보관해왔다. 공에 습기가 차면 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공도 멀리 날아가지 않는다는 속설 때문이다. 실제로 1995년부터 2001년까지 6.1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