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d라이브러리
"
자기
"(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자기
화된 페라이트 등 자성체의 강자성공명 주파수 부근의 패러데이효과에 의한
자기
투과율 텐서의 비대칭성을 이용하여 만든다 마이크로파 통신장치에서는 발진기의 출력선로에 넣어 외부 회로의 반작용을 억제할 때 등에 사용된다 플라스틱 카드에 일부 데이터 기억용의 IC를 수용한 것
자기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답이 불러올 상황을 화면에 띄우는 것이다. 이같은 경험을 반복하면서 환자는 스스로
자기
행동을 교정하는 방법을 배운다.모니터를 통해 의사는 시시각각 변하는 박씨의 반응을 분석한다. 중요한 자료로 남았다. ‘걷기’와 ‘말하기’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 흐른 시간은 환자의 의지에 따라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자리 잡았다.1990년대 초부터 가속이 붙었다. 연세대 기계공학과 박영필 교수는 “거대
자기
저항헤드가 개발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HDD에는 데이터를 읽고 쓰는 ‘헤드’가 있다. 레코드판 위를 움직이는 전축 바늘과 비슷하다. 손바닥만한 디스크 위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려면 헤드가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거예요. 진화론이 처음에 나왔을 때는 이상한 이야기였지만 위대한 이론이 된 것처럼
자기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지요.과학을 어렵게 느끼는 것에 대해 교수님은 우리 과학교육이 너무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그래서 더욱 쉽고 재미있게 과학을 배울 수 있게 교과서를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은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모든 기억을 잊고 심지어 사랑하는 사람마저 잊게 된다. 결국
자기
자신을 잃어버린 것이다.해마가 손상돼 서술기억을 잃어버려도 우리 자신의 모든 개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 같은 병으로 암묵기억까지 손실되면 우리 개성까지도 파괴되고 만다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교수팀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를 들을 때 뇌의 어느 영역이 활성화되는지를 기능성
자기
공명영상(fMRI) 장치로 찍어봤다. 그 결과 영어를 국어처럼 잘 알아듣는 학생은 측두엽 근처가 집중적으로 활성화됐다. 반면 영어를 알아듣기는 하지만 온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는 학생은 넓은 영역이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라나마에게 레오 일행은 비밀을 물어 본다.하지만 까다로운 사라나마는 조건을 건다.
자기
가 내는 과제를 실험을 통해 풀어 내면 가르쳐 주겠다는 것.“일반적인 상식으로 생각하면 이 무거운 석상을 옮기거나 세운다는 건 어려운 일이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정된 사고 방식을 갖고 있으니까 ... ...
비만의 원인, 너를 공개 수배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30년 사이에 어린이 비만이 10배나 증가했다는 사실을 아나요? 대한소아과학회의 연구에 따르면 1970년대만 해도 전체 어린이의 2∼3% 밖에 되지 않던 비만이 2000년대 ... 원인 중 하나라도 해당이 된다면 조심하세요. 그리고 빨리 습관을 바꾸도록하세요. 비만은
자기
도 모르게 찾아 오니까요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곳만 선택적으로 파괴되기는 매우 어렵다”고 덧붙였다.재미있게도 기억상실증 환자가
자기
이름만 잊을 수는 있다. 아내, 애인, 부모, 직장 상사 등 특정인에 대한 기억도 곶감 골라 먹듯 잊을 수 있다. 심각한 갈등 관계에 있는 사람을 잊으려는 일종의 방어 기제다. 연세대 김재진 교수는 “심한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그는 “한국 사람이 빅뱅과 별의 탄생에 대한 만화를 어렸을 때부터 봐야 우주를
자기
것으로 여긴다”고 ‘근엄한 박사’가 만화를 그리는 이유를 밝혔다.“소행성은 왜 꼭 뉴욕 앞바다에 떨어집니까. 동해에 떨어지면 안됩니까. 우리 고장 꽃은 있는데 왜 우리 고장 별은 없습니까. 우주를 우리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