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캠퍼스) 7월 10일 U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캠퍼스 1호 졸업생을 만나기 위해 대전으로 향했다. 정진영 교수(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가 그 주인공이다. 정 교수는 2004년 봄 UST가 개교하면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캠퍼스 석사과정에 입학했고, 석사과정을 마친 뒤 다시 박사과정에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말라리아는 아프리카에서 말리리아를 매개하는 모기(Anopheles gambiae)를 퇴치하기 위해 ‘유전자 드라이브(gene drive)’ 방식을 이용했다. 유전자 드라이브는 유전자 변형 기술 중 하나로, 특정 유전자를 개체에 삽입한 뒤 전파해 결국에는 생물종 전 개체군의 유전형질을 바꾸는 방법이다. 1.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졸림, 입막음 등 타살의 흔적이 변사자에겐 전혀 없었다. 모순이 생긴 것이다.이를 풀기 위해 전국에서 발생한 교사 사례를 이 잡듯 뒤졌다. 그 결과 비슷한 사건을 하나 발견할 수 있었다. 2015년 3월 서울 중랑구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공사장에서 인부가 그라인더로 파이프를 절단하던 중 목에 두른 ... ...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이것입니다. 지마는 이 파란색이 점점 자신의 작품을 지배하고 있는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잃어버린 과거 기억을 찾아 헤맸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오래전에 몸을 개조했던 시술소에서 과거의 기록을 찾아내고 놀라운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지마는 원래 인간이 아니었습니다. 최초의 지마는 수영장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재빨리 인식해 분해한다. 이 교수는 “인간의 생체 시스템은 우선 정크 단백질을 고치기 위해 시도하며 그래도 가망이 없으면 최종적으로 제거하는데, 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정크 단백질이 생체 내에서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프로테아좀을 바로 활성화시켜 정크 단백질을 없애면 그 ... ...
- [영국유학일기] 이력서 검토에 진로 상담까지 최고의 진로지원센터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위해서다. 이 시스템을 통해 내가 원하는 조건의 일자리를 검색할 수 있고, 유학생들을 위해 영국인이나 유럽연합(EU) 소속 국가의 사람만 해당되는 공고를 걸러주는 옵션도 있다. 또한 가입할 때 따로 신청만 하면 관심을 가질 만한 일자리 정보를 매일 혹은 매주 e메일로 보내준다. 진로지원센터의 ... ...
- 포항 지진, 왜 다시 주목받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지진 때문에 피해를 입은 포항 시민들이었어요. 이들은 정부조사연구단이 “지열발전을 위해 주입한 고압의 물이 알려지지 않은 단층대를 활성화해 포항 지진 본진●을 촉발했다”고 발표하자 정부에게 제대로 된 피해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거란 기대에 환호성을 지른 거예요. 자연 지진이 아닌 ...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셈이 됐어요. 그 결과 암석의 강도가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됐죠. 사실인지 알아보기 위해 홍 교수는 동해안과 서해안 사이를 오가는 지진파 속도가 동일본대지진 전후로 달라졌는지 관측했어요. 지진파의 속도는 암석의 강도가 약할수록 느려지기 때문에 속도를 측정하면 암석의 강도를 유추할 수 ... ...
- [GO!GO!고고학자]난파선은 어떤 비밀을 품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보존됐어요. 난파선이 타임캡슐이 돼버린 셈이죠. 고고학자들은 난파선을 찾기 위해 청자가 발견된 해역 주변을 샅샅이 뒤졌어요. 음파로 물속 지형을 탐색하는 음향측심기 등의 장비를 사용하고, 때로는 고고학자가 직접 잠수하기도 했지요. 4년에 걸친 조사 끝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게임 랙 극복한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간격을 조절해 성공률을 랙이 없을 때와 같게 만드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이를 위해 점프 버튼을 누른 뒤 캐릭터가 반응하는 시간에 따라 장애물을 통과하는 성공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뒤 이렇게 구한 성공률과 장애물 사이 간격의 관계를 분석해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