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실험했다. 참가자는 학교, 사무실 등 서로 다른 장소를 찍은 사진을 무작위로 본 뒤 교육 예산을 늘리는 법안에 찬성 혹은 반대표를 던졌다. 그 결과 투표 전에 학교와 관련된 사진을 본 집단이 찬성표를 던지는 비율이 높았다. 지금까지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투표 장소가 무의식중에 우리에게 ... ...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있다. 밀도는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물질마다 고유한 특징을 지닌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철의 밀도를 비교하면 철의 밀도가 더 크다.밀도가 큰 물질은 밀도가 작은 물질보다 아래로 가라앉으려는 성질이 있다. 칸막이가 있는 수조 한쪽에 푸른 물감을 섞은 찬 물을 넣고 반대쪽에 붉은 ... ...
- 변 신하고 싶어? 헷갈리나의 패션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머리에 예쁜 리본을 묶어서 시선을 끌어 올릴 셈이야.와, 머리띠를 했더니 신데렐라의 예쁜 얼굴이 강조돼 보이네요.장점 부분에 액세사리를 달면 오히려 장점을 강조할 수도 있지. 그래서 몸매에 자신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강조점을 머리쪽에 두라고 추천한단다. 얼굴을 확 살려 주는 역할을 ... ...
- 천재수학자의 완벽한 알리바이 용의자 X수학동아 l2012년 12호
- 나타낼 수 있다는 가설이다. 이때 하나의 소수를 두 번 사용하는 것까지 허용한다. 예를 들어 20까지의 짝수는, 4 = 2+2, 6 = 3+3, …, 18= 5+13 = 7+11, 20 = 3+17 = 7+1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모든 짝수에서 이것이 가능한지가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석고는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섀넌이 만든 개념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대상의 불확정성 정도를 수치화한다. 예를 들어 동전을 던지면, 동전에 하자가 있는 게 아닌 이상 앞면 또는 뒷면이 나올 가능성이 반반(50%)이 될 것이다(둘 중 뭐가 나올지 모르니 불확정성이 높다). 반면 동전이 구부러지는 등 하자가 있다면 한 쪽에 치우칠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시베리아의 강설량, 적도 인도양의 이류활동 등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쉽게 예측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해빙이 모두 사라지면 지구가 뜨거워진다현재 추세대로 북극 해빙이 감소할 경우 빠르면 2040년에 북극 해빙이 모두 녹아 없어질 것이다. 여름철 북극 해빙이 모두 사라지면 지구 ...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유럽에서 영아 사망률을 예측하고 미국에서는 노인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의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다. 그만큼 사망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불평등은 자연스럽지 않다오늘날 문명화된 사회는 대부분 불평등한 사회 구조를 갖고 있으며 점점 그 정 도도 심해지고 있다. 혹시 ...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연구할 것이 많습니다. 능력을 발휘할 기회가 얼마든지 있어요. 학생들이 K팝이나 연예인만 꿈꾸지 말고 과학을 더 연구했으면 좋겠어요.” 행사에 참석한 5명의 학생 중 3명이 여학생이었다. 학과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공대에 여학생이 10%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정 교수는 여학생도 ... ...
- 기후변화: 사회기반시설물의 하소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지역을 본래의 상태로 돌려놓는 것이지요. 또 하나의 방법은 현재 인천 송도신도시를 예로 들 수 있는 수로 시스템입니다. 도시 한가운데 수로를 만들어 도시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심각한 폭염으로부터 피해를 줄일 수 있지요.” 지금도 당신의 곁에서 사회기반시설물들이 ... ...
- 천문학자가 되고 싶다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정의하고 수행하여 마무리 지을지 잘 안다. 중요한 것은 연구수행능력이다. 내가 미국 예일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 14층짜리 건물의 높이를 각도기 하나만으로 재는 숙제를 내 준 적이 있다. 복잡한 삼각함수를 이용한 미적분 문제는 쓱쓱 풀어내는 학생들이 이렇게 간단한 문제에 기상천외하게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