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상변이를 겪을 때 두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 형성된다. 이는 마치 액체가 응고될 때 결정
알
갱이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나 물이 얼음으로 변할때 형성되는 갈라진 틈과 비슷하다. 아주 무한히 긴 두 개의 우주끈이 서로 아주 빠르게 움직인다면 그 주위에서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영역이 생긴다.두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변화시킨 우주관을 요약하면서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지금까지 우주론을 통해 우리가
알
아낸 사실을 모아 보면 다음과 같은 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뉴턴과 아인슈타인이 나무에서 떨어지고 있는 사과를 바라보며 중력을 연구하고 있던 바로 그 순간, 눈에 보이지 않는 다른 4개의 암흑사과 ... ...
특허를 갖는 자가 시장을 지배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했다. 안드로이드에만 목을 매지 않겠다는 뜻이다.치열한 특허 전쟁이 어떻게 끝날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특허 몇 개가 수십 조 원 규모의 사업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많다. 특허는 단순히 많다고 좋지도 않으며, 꼭 복잡하고 어려운 특허가 좋은 것도 아니다. 때로는 ... ...
혈당
알
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 슈퍼 피부를 로봇에 적용하면 사람의 땀만 만지고도 병의 감염이나 음주 여부를
알
아낼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3월 11일자에 발표됐다. [미국 스탠포드대 제난 바오 교수는 인간 피부보다 1000배 민감한 피부를 개발하고 올해 초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기능을 더해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한중일 ‘같이 또 따로’“연구의 의의요? 사람들은 사실상 하나의 인류라는 사실을
알
게 된 거죠. 전 세계 인류의 유전자 중 지역별로 차이가 나는 유전자는 겨우 7.4%에 불과합니다. 나머지는 공통 형질을 지닌 유전자예요. 유럽인, 호주인 등을 ‘구분’하는 것이 타당한지 의심해 봐야 합니다.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연구소에 공부하러 온 학생들에게 짧은 시간에 우리가 전혀
알
지 못했던 엄청나게 많은 생물과 다양성을, 때리고 쓸어잡는 채집을 통해 보여주곤 한다. 그러나 채집한 애벌레들 중에 먹이식물을 확실히 모를 때는 원래 있던 곳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나무의 몸통에 난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현상이다.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을 보면
알
수 있다. 확산과 분자량의 관계 확산 속도와 분자량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831년 그레이엄은 기체의 확산 속도에 관한 정량적인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확산 속도는 기체의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실리기도 했습니다. 음색의 미스터리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지요. 제 아름다움의 비밀을 너무 밝히려 하지 말고 그냥 감상해주세요.300여 년에 걸쳐 오케스트라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악기 사이에 있는 음색의 조화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거예요. 하지만 아직은 먼 ... ...
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필자는 마그네슘 합금이 준결정 구조를 이루도록 다시 만들었다. 마그네슘 합금은
알
루미늄 합금보다 무게는 가벼우면서 강하기 때문에 더 많은 용도로 쓸 수 있다. 그러나 제품을 만들 때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기가 어려워 널리 사용하지는 않았다. 필자는 이 마그네슘 합금의 결정 구조를 새로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지난 9월 18일 ‘네이처 분자 및 구조생물학’ 지에 흥미로운 논문이 실렸다. 비디오 게이머들이 ‘폴딧(foldit)’이라는 온라인게임으로 10여 년 동안 난제였던 단백질 구조를 밝 ... 수 있다는 꿈을 꿔 보자. 짬짬이 시간을 내서 게임도 하고 연구에도 보탬이 된다면 꿩 먹고
알
먹고 아닌가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