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1백년 후의 한국인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세상은 변한다. 빛바랜 사진에 등장하는 1백년 전 조상의 얼굴이 우리에게 낯설음으로 다가오는 것처럼, 1백년 후 자손들 역시 현재 우리의 외모에 적지 않은 거리감을 느낄 것이다. ... 별다른 지각변동이 발생하지 않을까.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우리의 미래를 다각도에서 예측해
보자
... ...
전류로 만드는 소용돌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방향으로 흐르는 물의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같다. 물속에서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확인해
보자
.■왜 그럴까?자석을 덥고 칬는 알루미늄판은 (+)극에, 밑에 있는 알루미늄판은 (-)극에 연결했다고 하자. 여기서 소금물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해질이다. 알루미늄 판을 연결하는 도선으로 생각할 수 ... ...
건전지에 매달려 도는 팽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흐르고 자석 주변에는 원형의 자기장이 만들어진다. 못의 횡단면 왼쪽 끝을 생각해
보자
. 못의 왼쪽 지점에서 전류의 방향은 아래방향, 전류에 수직한 자기장의 성분은 오른쪽 방향이므로 힘의 방향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이다. 이에 반해 못의 오른쪽 지점에서는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의 힘이 ... ...
자석 바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자석으로 레일과 바취를 만들어 전류를 흘려
보자
.■왜 그럴까?레일을 가로지르는 알루미늄관에 전류가 아래에서 위로 흐른다고 하자. 레일 양쪽에 매달려 있는 마주보는 자석은 같은 극으로 배치돼 있다. 이때 알루미늄관 횡단면의 양쪽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있다면 나팔고개에서 계속 북쪽으로 올라가 통리역 부근의 통리협곡과 미인폭포에 들러
보자
. 통리협곡은 한국판 그랜드캐니언이라고 할 정도로 침식과 퇴적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 장엄함과 시간의 위대함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은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역암층으로 강물에 의해 침식돼 ... ...
무인도에서 만든 페트병 정수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물로 만들 수 있을까.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갈, 모래, 숯으로 정수기를 만들어
보자
.■왜 그럴까?흑탕물은 일종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혼합물을 순수한 물과 무해한 성분만을 남기고 오염물을 제거해 분리하는 것이 물의 정화과정이다. 자연에서 더럽혀진 물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정화된다.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보여준다.① 사이다 폭발병이나 캔에 들어있는 사이다에 소다를 한 숟가락 넣어
보자
.■왜 그럴까?소다의 주성분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_{3}$)이다. 이 물질은 산성용액에서 녹아 이산화탄소 기체를 발생시키는 성질이 있다. 사이다는 탄산이라는 약산이 녹아있는 산성용액이므로 여기에 소다를 ... ...
로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형님뻘이다. 수학 시간에만 배운 것으로 기억되는 로그함수를 일상생활 속에서 만나
보자
.고등 학교에서 배우는 여러 가지 종류의 함수 중에 로그 함수가 있다. 계산 도구로서 로그의 힘은 곱셈과 나눗셈을 좀더 손쉬운 연산인 덧셈과 뺄셈으로 바꿀 수 있다는 데 있다.${log}_{a}$MN=${log}_{a}$M + ${log}_{a}$N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협심증 등의 무서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를 받는다. 이러한 논리로
보자
면 복부 비만은 고혈압이나 고지혈증보다도 훨씬 더 다양하고 심각한 합병증들을 유발하므로 더욱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복부 비만이 있는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에 비해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② 쓴 맛나는 알루미늄 포일알루미늄 포일 맛은 어떤 맛일까. 금속 숟가락으로 확인해
보자
.■왜 그럴까?수저와 포일의 끝부분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저와 포일을 혀에 대면 쓴맛이 느껴진다. 이는 침이라는 전해질 용액 안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인 수저와 포일이 접촉하면서 전지가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