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애틀랜타 '94 봄 컴덱스 쇼과학동아 l1994년 07호
-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밝힌 그는(지난 3월 21일 그는 맥코 셀룰러사의 맥코회장과 함께 8백여개의 위성을 띄워 우주공간에 정보고속도로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정보 고속도로에 관한 모종의 프로젝트(터치다운)를 진행중이라고 말했다.그가 기조 연설을 통해 밝힌 ... ...
- 극저온물리학의 선봉 헬륨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액체헬륨은 초유체의 성질을 띠게 된다. 물의 상그림에서 물이 1기압에서는 3백73K, 즉 1백℃에서 끓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헬륨의 1기압에서의 끓는점은 4.2K이다. 그래서 물을 상온의 대기중에 두면 천천히 증발할 것이나 액체헬륨을 상온의 대기중에 두면 순식간에 증발되어 모두 대기중으로 ... ...
- 미생물로 석탄오염 말끔히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석탄 탈황기술로는 화학적인 방법과 물리적인 방법이 있다. 화학적인 방법은 고온(1백-4백℃)과 고압(7-54기압)의 조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며, 많은 양의 화학 물질들이 필요하다. 물리적 탈황법의 경우에는 미세한 입자의 유황을 제거할 수 없고, 유황과 석탄의 분리 과정에서 ... ...
- 1등사수의 지름길, 포물선 운동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최대 몇 m까지 올라갔을까? 또 공을 찬 각도는 수평면에 대해서 몇도 이겠는가? 해설1. 5백m를 자유낙하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5${t}^{2}$=500에서 약 10초이다. 그 10초간 수평방향으로 등속운동하므로 떨어지는 사이에 움직이는 거리는 900km/3600sx10s에서 약 2.5km 전방에서 폭탄을 낙하해야 한다.2. ... ...
- 우라늄·플루토늄·핵무기의 삼각관계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우라늄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둘다 원자 번호(양성자수)가 92지만 중성자 수가 1백43개인것(우라늄235)이 있고 1백46개인 것(우라늄238)이 있다. 우라늄광산에서 캐낸 천연우라늄을 살펴보면 235가 0.7%, 238이 97.3% 들어 있다. 이 두 동위원소의 차이는, 우라늄238은 중성자를 흡수해도 핵분열이 일어나지 ...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과학동아 l1994년 07호
- 꼬리의 겉보기 각도는 1백25°-1백50°로 가장 길었다. 그 때의 지구와의 거리는 겨우 2천5백만㎞였다.1986년 핼리혜성은 다시 지구와 태양을 76년만에 찾아왔다. 이 무렵 인간은 핼리혜성을 최신 과학 장비로 맞이했으며 사상 처음으로 탐사선까지 발사했다. 인공위성을 이 혜성의 핵으로 투입해 큰 ... ...
- 한국 IBM, 멀티미디어 홈 PC 선봬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발달용 교육 소프트웨어로서 영어와 산수 지능개발용 게임을 수록하고 있다. 가격은 1백99만원(부가세 별도).한편 CD-ROM드라이브를 장착한 IBM MVP는 486DX 33에 2백13MB의 하드디스크를 갖춘 PC로 사운드 블래스터 프로를 장착하고 오성식 생활영어 CD-ROM 타이틀을 번들로 제공한다. 가격은 2백45만원 ...
- 자외선, 피부암 유발의 원인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방출된다.태양광선은 전자파(표1)의 일종으로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광선은 약 3백nm 파장 이상의 자외선과 가시광선 그리고 적외선이다. 태양광선의 약 60%는 적외선, 37%는 가시광선, 나머지 3% 정도가 자외선 영역이다. 뉴턴은 가시광선이 무지개와 같이 적색으로부터 보라색까지의 스펙트럼으로 ... ...
- 쥐의 생체시계 유전자 발견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요소를 주입한 수컷쥐와 처리하지 않은 암컷쥐 사이에서 자식을 얻었다. 그 결과 3백4마리 중 한마리만이 24.8시간인 것이 있었다. 이 쥐가 가진 유전자를 '시계유전자'라 이름 짓고 다시 교배시켰다. 여기서 태어난 N2에는 생체시계가 보통 것보다 긴 것이 있었다.다시 N2끼리 교배시켜 태어난 자식 F2 ...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상상보다 엄청난 위력을 발휘한다.우리 눈과 50㎜ 쌍안경과의 차이는 4인치 망원경과 소백산 천문대에 있는 망원경의 차이만큼 크다. 실제로 여름의 밤하늘을 수놓는 은하수를 맨눈으로 보게되면 희뿌연 구름처럼 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쌍안경을 사용하게 되면 은하수를 무수히 많은 별들로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