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d라이브러리
"
길이
"(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먹을거리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음식을 선호하도록 하는 일이 육류 섭취 과잉으로 인한 만성질환의 발생을 예방하는
길이
다. 하지만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단백질과 지방은 꼭 필요한 영양소이므로 모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도록 하는 일이 중요하다 ... ...
구장산술 (九章算術)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方田) : 방전이란 사각형 모양의 논밭을 뜻한다. 이 장에서는 전답의 넓이와 가로·세로의
길이
를 구하는 방법을 다룬다(38문제).■ 2장 - 속미(粟米) : 속미란 껍질을 벗기기 전의 조를 말한다. 조를 기준으로 한 곡물 교환 문제를 다룬다(46문제).■ 3장 - 쇠분(衰分) : 쇠분이란 차등을 두면서 비례적으로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그레이트리프트 계곡(중동의 요르단에서 동부 아프리카의 모잠비크로 이어지는
길이
6천km의 세계 최대 지구대)이 내려앉고, 그 가장자리 일부가 솟아오르면서 거대한 벽이 형성됐다. 이 벽은 우주비행사가 달에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크다. 이 사건은 급격한 기후 변화를 가져왔다. 서쪽에는 비가 ... ...
통합수자원관리 오케스트라 지휘자 김승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말한 30억${m}^{3}$가 어느 정도 양인지 한번 생각해보자. 깊이 30m고 너비가 1백m라면
길이
는 무려 1천km가 된다. 불과 10년 안에 이 엄청난 공간 안에 가득 채운 물을 매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커다란 강 하나가 새로 생기는 셈이다.단장은 연결고리 역할김단장은 30억${m}^{3}$이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있다.최근 과학자들은 양자중력에 대한 희망을 끈이론에 걸고 있다. 끈이론은 10차원에서
길이
가 ${10}^{-35}$m라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미세한 흔들리는 끈으로 자연을 기술하려는 이론이다. 4차원 이상을 다루고 수학적으로도 매우 복잡하다. 원리적으로 끈이론은 자연계의 모든 힘을 설명할 수 ... ...
항공우주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대처할 수 있게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 한 예로 엔진의 터빈블레이드는 응력이 걸리는
길이
방향으로 기둥 모양의 결정구조를 갖도록 해 피로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또 피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시부터 발생할 응력을 분석하고 피로주기를 고려해 부품의 수명을 예측한다.물리학과 화학은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대한 실험이 성공했다는 것이다.이제 막 첫단추을 끼운 셈이다. 하지만 아직은 가야할
길이
험난하고도 멀다. 마이크로 캡슐형 내시경의 구동메커니즘을 담당하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김병규 박사에 따르면 내시경의 크기가 지금의 대장내시경에서 마이크로 캡슐형으로 바뀌면 대장내시경의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비례할 것이다. 그러면 동물의 속도 v는 v∝ $\sqrt{\frac{1}{l}}$ × l = $\sqrt{l}$ 즉 다리
길이
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만일 사람보다 1백배 큰 괴수의 걸음걸이를 찍는다면, 괴수로 분장한 사람이 걷는 모습을 촬영속도를 $\sqrt{100}$ =10배 빨리 해서 찍으면 된다. 즉 평소에 초당 36프레임의 사진을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아직 발굴되지 않고 그대로 놔둔 처녀분이다. 진시황릉 지하궁전은 동서 4백85m, 남북
길이
5백15m로 추정되는데, 이렇게 방대한 규모의 지하 궁전은 세계 역사상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현지 중국 섬서사범대 마치 교수를 비롯한 중국 학자들의 설명에 따르면 진시황릉이 있는 지하 깊숙한 곳은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M2A라는 최초의 캡슐형 내시경을 개발해 판매에 돌입했다. M2A는 두께가 12mm,
길이
가 30mm로 체내 영상 데이터를 제공해 진단에 쓰일 수 있다. 현재 한국의 경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연구센터에서는 M2A와 차별되는 내시경을 개발·연구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미래에는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