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4,569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10
달해 구경 60mm 1백배로 큰모양과 극관을 알 수 있지만, 가장 멀리 있을 때는 시직경 3.5
초
가 되어 관측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충의 전후 2-3개월 10
초
이상의 시기가 관측의 기회이다.■ 기울어져 있는 토성의 고리토성이 어떤 모양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이더라도 처음으로 천체망원경으로 ... ...
현대전의 승패 판가름내는 전자전
과학동아
l
199310
말미암아 연합군이 이라크전역을 공습했을 때 이라크군의 기습을 허용하는 결과를
초
래했던 것이다.'사막의 폭풍작전' 전자전의 승리1991년 1월 16일 미공군의 EC-130H 전자전지원기가 강력한 전파를 방사하며 이라크군의 통신을 방해하면서 미국이 주축이 된 연합군의 '사막의 폭풍 작전'의 막이 ... ...
임금님의 궁전을 보호하는 외각성들
과학동아
l
199310
서쪽으로 치우쳐있는 금성은 새벽의 동쪽하늘에서, 동쪽으로 치우쳐있는 수성은
초
저녁의 서쪽하늘에서 볼 수 있다.■ 중천의 토성어둠이 깔리기 시작하면 토성은 이미 중천에 떠 있다. 친구나 가까운 이웃에게 이 아름다운 토성의 모습을 보여줘 보라, 아마추어 천문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09
여러 이론들은 어디까지나
초
기의 우주에 대해서 불명확한 관계 때문에 도입된 것이며
초
기 이후의 우주는 어디까지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한 프리드만-로버트슨-워커의 팽창우주론이 자명하게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09
만들려면 부피가 크고 전력 소모량이 큰 냉각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별 2호와 같은
초
소형 위성에 이러한 냉각기를 탑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안된 것이 수동식 냉각기다. 이 냉각기통은 냉각장치는 아무것도 없으며, 다만 통 자체를 외부로부터 오는 열의 흡수를 ... ...
화학 - 자연의 복잡한 물질분리, 필요한 화합물 재구성
과학동아
l
199309
을 원료로 하는 화약이 발명된 후 유럽 여러 나라는 원료의 주산지인 칠레로부터
초
석을 수입해 화약을 제조했다. 그러나 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기 6년 전 독일의 화학자 하버는 수소와 질소 혼합가스를 높은 온도와 압력하에서 적당한 촉매에 접촉시키면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것을 발견하고 방대한 ... ...
군함
과학동아
l
199309
프리깃함 고속호위함 콜베트 등이 있으며 규모는 1천t에서 5천t에 이르는 것도 있다.
초
계함은 이들 함정보다 작은 규모로서 구축함의 호위함 또는 고속정의 지휘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기뢰함은 기뢰의 부설 또는 이들 기뢰를 제거하는 임무를 전담하는 함정으로 헬기를 탑재하거나 소형함정을 ... ...
대전 EXPO에 등장한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309
예를 들면 지구를 볼록 튀어 나온 벽면에 영사하면 훨씬 지구 모습이 돋보인다 물론
초
점은 지구의 어느 지역에서나 다 잘 잡힌다. 싱크 박사의 얼굴은 사람 형상을 한 조각에 영사하고 흐르는 구름 영상은 펄럭이는 천에 영사하면 효과는 100%.대전엑스포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09
6.9등급과 8.0등급의 별 두개로 이루어진 다중성 HN40이 있기 때문이다. 이 다중성은 10.6
초
의 분리각과 2백12도의 위치각을 갖고 있어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분리해 볼 수 있다. 같은 시야내에서 북동쪽으로 0.7도 부근에 산개성단 M21이 함께 보인다. ■ M8(라군성운)삼렬성운보다도 2배 이상 크고 ... ...
벽에 부딪친
초
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09
다닙니다. 그런 사람이 처음부터 외국의 권위지부터 찾을 수 있겠습니까."처음 최교수가
초
전도 연구를 시작한 것은 학생들에게 물리화학특론을 강의 하면서부터. 동양과학의 특성을 강조 하면서 자연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전자 속에 들어가보자는 말이 씨가 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