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뉴스
"
컴퓨터
"(으)로 총 4,447건 검색되었습니다.
‘AI 넘는 인류’ 새 숙제
동아일보
l
2016.03.16
갖춘 인물이 인재로 평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 직원 장모 씨(30)는 “지금도
컴퓨터
가 주식 종목을 찍어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수익률이 높지 않다”며 “현실은 바둑판과 다르기 때문에 AI가 발전해도 사람을 완전히 대체하진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AI 분야의 상업화에 가장 앞선 ... ...
“시장과 겨루는 금융로봇… 대박상품 콕 찍어주지는 않아”
동아일보
l
2016.03.16
알파고에 대한 이야기도 인터뷰 내내 빠지지 않았다. 김승종 대표는 “이 9단은 하나의
컴퓨터
가 아닌 이세돌 자신을 포함한 수많은 바둑 기사들의 데이터와 싸운 것”이라며 “주어진 연산 시간만 늘어난다면 알파고는 중국 바둑 1위 커제와 붙어도 무조건 승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중 기자 ... ...
“인공지능 궁금하면 법원으로 오세요”
동아일보
l
2016.03.16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독립
컴퓨터
한 대는 슈퍼컴이 아니라도 엄청난 양의
컴퓨터
를 병렬로 연결하면 슈퍼컴이 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이번 대결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시급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강성명 기자 smkang ... ...
[AI 시대가 온다 ⑤] 과학계, ‘알파고 쇼크’에 충격
2016.03.16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AI가 ‘붐’이라고 무작정 자본을 투입하기보다는 슈퍼
컴퓨터
사용권, 인력 확충 등 인프라 구축에 힘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알파고 4승 1패] 알파고가 남긴 것…5번의 대국 되돌아보니
2016.03.15
단점이 있다. 충분한 연산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구글 측은 알파고를 위해 슈퍼
컴퓨터
급 이상의 자원을 동원했지만 시간 역시 최대의 관건으로 보고 경기 시간을 4시간(대국자 2인 각 2시간)으로 잡았다. 알파고와 네 번째 대국에서 승리한 이세돌 9단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 ... ...
[이세돌 vs 알파고]이세돌, 인공지능과의 대결에서 1승 4패 (상보)
동아사이언스
l
2016.03.15
해설): 이세돌 9단이 위대한 도전을 했다고 생각한다. 이 9단은 4국과 다른 전략을 썼다.
컴퓨터
가 가장 잘할 수 있다는 계산으로 맞대응을 했다. 그 도전이 아름다웠다. 이겼으면 좋았지만, 아쉽다 (Q) 이세돌 9단은 어려서 부터 자기 보다 상수랑 대국을 즐겼다고 한다. 알파고는 어땠는가? 그리고 ... ...
[AI 시대가 온다 ②] 의사, 변호사, 화가까지…영역 넓히는 AI
2016.03.15
시대’가 열렸다. 김대식 KAIST 전자및전기공학과 교수는 “사람의 사고 방식을
컴퓨터
에게 가르치는 알고리즘인 ‘머신러닝’ 덕분에 100~200년 걸릴 것으로 예상되던 AI의 실현이 10~20년 후로 앞당겨졌다”고 말했다. IBM의 ‘왓슨’을 적용한 호텔 서비스 로봇 ‘코니(Connie)’. - IBM 제공 IBM이 자사의 ... ...
[AI 시대가 온다 ④] 사생활 침해부터 AI 오작동까지
2016.03.15
했다. AI의 오용 역시 해킹 이상으로 큰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현재
컴퓨터
해킹이나 바이러스를 잡기 위해 소모되는 노력보다 훨씬 더 큰 AI 오용 방지책이 요구된다고 지적한다. AI가 아직까지는 사람이 생각하는 수준으로 자율성을 갖는 수준까지는 도달하지 못했다. 즉 현재 ... ...
“광
컴퓨터
등장땐 ‘알파고’ 수읽기 더 빨라져”
동아일보
l
2016.03.15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해왔지만 게르마늄은 빛 방출 효율이 낮다는 점 때문에 고효율의 광
컴퓨터
용 광소자로 개발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남 교수는 스탠퍼드대 유학 때부터 관련 연구를 해왔다. 지난해 인하대 강단에 선 뒤에도 스탠퍼드대 연구팀과 꾸준히 중간성과를 주고받으며 ... ...
AI에 놀란 한국, 기술격차 좁힐 ‘두뇌’가 없다
동아일보
l
2016.03.15
▼ 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는 1990년부터 7년간 900억 원을 투자해 한국어를 알아듣는
컴퓨터
를 만드는 야심 찬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도 했다. 하지만 가시적인 연구 성과가 나타나지 않자 정부 지원이 끊어졌다. 연구도 멈췄다. 결국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AI 분야의 인재들은 전공을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