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2만4천년 전의 크로마뇽인 시대 임신부 유해 발굴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돌들과 화살촉 석영 등과 같이 무스테리안 시대(구석기 시대의 한 시기)를 알려주는 고대
인류
의 존재 흔적, 아그나노 여성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여러 가지 것들을 발견했다.코폴라 박사는 그 동굴이 옛날 지중해 사람들의 위대한 어머니 여신에 바쳐진 숭배의 증거뿐만 아니라 또 다른 인간의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용이라는 기치아래, 방사성동위원소에 의한 동식물의 돌연변이 육종이 1960년대에
인류
에게 큰 희망으로 부각된 적이 있었다. 그 당시 어느 일간지의 신년 특집만화에 커다란 쌀 한톨을 농민이 지게에 짊어진 그림이 실리기도 했으나, 그러한 돌연변이 육종의 효과는 실현되지 않았고,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자연의 신비를 탐구하는 것이 생물학(biology)의 본질이라면 자연현상과 생명현상을
인류
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생물공학(biotechnology)이다. 그중에서 특별히 환경보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것이 환경생물공학(environmental biotechnology)이다. 생물공학기술은 21세기를 주도할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별들의 세계로 들어선다. 별의 이름을 익히는 이유는 나름대로 다양하리라. 별을 통해
인류
의 상상의 역사를 배우기도 하고, 계절이 바뀜에 따라 나타나는 하늘의 아름다움을 보는 즐거움을 갖기도 한다. 광대한 우주에 대한 그 감춰진 신비를 미약하나마 캐볼 수도 있다.긴 겨울밤 동안 여러분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일으키는 독자들이 많으리라고 생각되나 순수 논리를 기초로 한 이 두 학문 덕택에 우리
인류
는 아득한 역사의 초기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주변을 비교적 정확히 인식해 오는데 성공한 점은 인정해야 한다.1 수학적 우주론과 물리학적 우주론잘 알다시피 우주론의 역사에는 프톨레미(C.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 생체효소들은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뿐더러 신의약품 개발 및
인류
건강을 크게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셋째 효소의 공업적 활용은 이제 시작단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계의 화학산업이 석유중심에서 생물자원을 이용한 효소산업으로 개편될 전망이다.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더욱 확대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5. 확산되는 제3세계의 핵문제
인류
의 최대 공적(公敵)으로 간주돼온 핵무기가 사회주의권 몰락의 여파로 빠른 속도로 해체되고 있다. 과거에는 핵무기개발의 주도권쟁탈전이 치열하게 벌어졌는데, 이제는 정반대 양상을 띠고 있는 것. 특히 ... ...
4 석유대신 바이오매스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석유대체물질로 손색이 없게 될 것이다.동식물 또는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에너지가
인류
의 미래를 보장해줄 것이다. 즉 생물이 생성하거나 배출하는 유기물에서 얻어지는 에너지가 석유나 석탄 등 화석연료를 대체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것이 바이오매스(biomass)에너지인데 이 에너지의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한다.천문학이나 우주학이 바로 그런 경우인데 그러나 가끔은 이 학문들이 우리
인류
로부터 너무 벗어난 것처럼 보여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기도 한다. 필자의 남편인 아이작 아시모프 박사는 언젠가 흐느끼는 목소리의 한 젊은이로부터 전화를 받았는데 그는 "언젠가 우주가 끝날 수 있다는 것이 ... ...
공룡시대 대탐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동물이었다. 지금까지 공룡만큼 번성하고 오랜 기간에 걸쳐 지구에 군림했던 생물군은 없었다.
인류
가 출현하기 이전에 이미 지구에서 사라져 버린 공룡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얼마만큼인가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