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약하지만 가장 위대한 힘, 만유인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 그러나 만유인력과 통합하는 것은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이것이 이른바 ‘대통일장
이론
’이다.해왕성과 명왕성의 등장만유인력은 모든 물체들 사이에 작용하므로 행성들 사이에서도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해야 한다. 목성에 힘을 가하고 있는 것은 태양만이 아니라 다른 행성들도 목성에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드러난다.미국의 물리학자 3명이 전자의 새로운 상태인 '양자 유체'를 발견하고 이를
이론
적으로 규명해 올해 노벨물리상의 영예를 안았다. 양자 유체란 극도로 강한 자기장과 영하 273℃내외의 극저온의 환경에서 전자가 액체처럼 운동하면서 전기저항이 분수값을 갖는 상태다. 여기서 사용된 ... ...
4. 팔은 안으로 굽는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방사선 현상과 결부돼 있지만 물리학자들이 보기에 아레니우스의 전해설은 화학적인
이론
이었다. 이 같은 물리학상 위원회의 반응은 언제가는 물리학상을 받을 것을 기대했던 아레니우스의 희망을 꺽는 것이었다.그해 가을에 물리학상 위원회는 만장일치로 베크렐과 퀴리부부를 추천했다. 그들은 ... ...
3. 빛보다 빨리 달리는 우주선 초광속비행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가는 것이 아니다. 우주선은 공간의 파도를 따라 밀려나가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론
은 간단한 것 같지만 이를 현실적으로 실현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생긴다. 이런 초광속 비행을 가능하게 하려면 시공간을 구부러뜨리는데 필요한 물질과 에너지의 분포를 임의로 조작해야 한다. 이를 위해 ... ...
3. 반도체 개발중에 발견된 입자 애니온이 여는 신세계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상호작용 때문에 전자 사이의 평균거리는 어떤 일정한 값 이상을 갖게된다는 것이다. 이
이론
에 따르면 새로운 들뜬 입자가 존재하는데, 이 입자의 전하량은 기본 전하량 e 보다 작은 분수 값인(1/3)e 값을 가지며 페르미온도 아니고, 보존도 아닌 애니온(anyon)이라는 것이다. 이 입자를 자연에서는 ... ...
2. 불로불사의 꿈, 영생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만들어진 효소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현상이 여기에 해당한다.자유라디칼(free radical)
이론
을 써서 노화는 유전 메커니즘 자체의 쇠퇴 때문이 아니라 세포 내의 에너지 처리 센터가 쇠퇴한 탓이라는 주장도 있다. 자유라디칼이란 화학적 성질이 불안정한 원자 혹은 원자의 그룹을 일컫는데, 섭취된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그다지 인정을 받지 못했다. 1850년 영국 왕립학회 회원으로 추대될 때까지 학자들은 그의
이론
을 눈여겨보지 않았다. 결국 줄은 자신이 꿈꾸던 대학교수의 지위에 오르지 못하고 여생을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양조장을 경영하며 보냈다. 현재 교과서에서는 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일의 ... ...
수학의 난제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있다. 때문에 일반 대중들은 응용분야들의 결과물만 직접적으로 피부에 느낄 뿐 그
이론
적 지지기반에는 관심이 없다. 그러나 수학이 모든 과학의 뿌리로서 ‘과학 중의 과학’으로 칭송되는 사실을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 ... ...
수돗물 불소화는 꼭 필요하고 안전하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수돗물 불소화는 한사람의 위대한 학자가 어느 날 갑자기 실험실에서 고안해 낸 단순한
이론
이 아니다. 1900년대 초부터 충치와 불소와의 관계를 세밀 하게 연구하고, 또 식수에 불소가 0.6-1.8ppm 함유돼 있는 지역에 수세대동안 살아온 주민의 건강과 식수에 불소가 함유돼 있지 않은 지역 주민의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3차원 영상을 얻는데는 단순히 사진들을 재조합하는 것과는 다른 훨씬 복잡하고 심오한
이론
이 필요하다.최초로 밝혀진 단백질 구조처음에 과학자들은 단백질이 3차원 구조가 명확하게 갖춰지지 않는 콜로이드 형태의 구조를 이룬다고 짐작했다. 그러나 단백질 중의 하나인 우레아제가 결정화되고,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