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심층수로 식물플랑크톤이나 해조류, 조개류를 키우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심층수에서
생물
이 더 잘 자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해양심층수에는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에 필요한 무기염류가 많기 때문이다. 식물플랑크톤이 많아지면 식물플랑크톤을 잡아먹고 사는 동물플랑크톤이 많아지고 다시 ... ...
오염 토양 살리는 ‘사회 속 과학자’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는데 이렇게 손을 놓을 수 없다는 생각이 머리를 가득 채웠다.“
생물
학, 화학 수업을 다 신청해서 들었어요. 힘들지 않았냐구요? 왜 안 그랬겠습니까. 하지만 공부를 하려면 제대로 해야겠다는 생각에 끈질기게 매달렸습니다.”이처럼 ‘퓨전 학문’에 대한 의지와 하고자 하는 ... ...
하와이 제도에서 찾은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큰 진화적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다는 식이오. 다시 말해 작은 진화들이
생물
집단에존 재하다가 적절한 환경에 노출되면 동반 작용을 일으켜 거대한 진화를 일으킨다고 설명한다오.- 과학동아 2009년 1월호‘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 진화법칙’(나) 다윈의 저서인 종의 기원에서 특히 ... ...
고릴라와 함께한 영장류 진화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바이러스에 감염돼 거의 멸종할 뻔한 적이 있는데 이 때 면역력이 생겼기 때문이다.
생물
학자들은 침팬지의 유전자를 연구하면 에이즈 치료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사람과 유인원의 진화를 연구하면 이렇게 오늘날의 사람에게도 도움이 된답니다. 인류의 가장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있다고 하더라도 이로부터 그 생명체를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DNA 이중나선이
생물
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게 불과 56년 전인 1953년입니다.10여 년 전만 해도 30억 쌍이나 되는 사람의 게놈을 몇 달 만에 밝힐 수 있게 되리라고는 기대하지 못했죠. 매머드 게놈 서열을 ... ...
공룡 최초의 깃털은 과시용?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보온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과시용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과학원 척추고
생물
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 징 수이 연구팀은 두 발로 걷는 수각류 공룡인 베이피아오사우루스의 화석 중 진화 초기형태의 깃털 화석을 발견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중국 ... ...
[생리학]돈을 부르는 약손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약손가락(약지)이 집게손가락(검지)보다 긴 남성이 금융가에서 돈을 더 잘 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존 코트 교수 ... 때는 합리적인 사람들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린다는 경제학의 전제에서 출발했지만, 이제
생물
학 용어로 금융시장을 설명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 ...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이듬해 서울대로 옮긴 이 교수는 최근 관심 분야가 넓어졌다. 그의 연구실 책장엔
생물
관련 서적들이 잔뜩 꽂혀있다. “앞으로는 반도체 기술과 생명공학이 융합될 겁니다. 물리학을 통해 생체 모방 시스템을 구현하고 생체현상을 예측하는 셈이죠.”실제로 2006년 3월 이 교수는 세포에 인위적으로 ... ...
[해양학]바다의 건강을 책임지는 어류 배설물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무기물을 배설해 해양 산성도를 균형 있게 유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경골어는 해양
생물
수의 90%를 차지한다.지금까지 과학자들은 해양 플랑크톤이 생산하는 탄산칼슘이 해양 산성도를 조절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해양 플랑크톤의 개체 수에 비해 탄산칼슘이 더 많이 생산되는 이유는 밝히지 ... ...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오병하 교수가 그를 찾아왔다. 오 교수는 X선 회절을 이용해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는 구조
생물
학자인데 당시 콘덴신이라는 복잡한 단백질의 구조를 연구하고 있었다. 세포가 분열할 때 DNA를 뭉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콘덴신은 MukB, MukE, MukF라는 3가지 단백질이 서로 연결된 복합체다. 오 교수팀은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