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난
사건
생각
사색
재해
재앙
난리
d라이브러리
"
사고
"(으)로 총 4,03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캐나다 여성에게서 나타난 잠재의식의 사례를 설명하고 있다. 그 여자는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
로 물체나 그 형상을 인식하는 기능을 완전히 상실했다. 그러나 그녀는 뇌기능 조사실험에서 자신의 앞에 높인 연필이 누워있는지 서있는지도 알지 못하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손을 뻗어 정상적인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가능성을 입증하려고 했던 사람들을 '강한 AI론자'로 이름붙였다. 이들에 따르면 인간의
사고
는 기호 형식의 조작이라는 것이다. 가령 엘리자라는 프로그램과 대화하는 인간은 상대방이 컴퓨터라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다른 사람과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사실 엘리자프로그램을 개발했던 J.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상태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운동 명령을 내린다. 또한 정서 기억
사고
의 고등정신 작용에서부터 심장의 박동속도, 호흡 등 생명기능에 관한 것에 이르기까지 신체 내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것을 통제하거나 조절하고 있다.말초신경계는 신경들로 이루어져 있다. 신경은 ... ...
4 컴퓨터의 언어장벽 허물어퍼지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기존의 개념으로는 집합을 형성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들은 우리의 일상적인
사고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자데교수는 위와같이 소속이 명확하지 않은 대상들을 수학적으로 다루기 위해 '퍼지집합'의 개념을 도입했다. 퍼지집합의 개념은 각 대상이 어떤 모임에 '속한다, 속하지 않는다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솔라카 한대의 제작비용이 25만~2백40만달러에 달하니 그 금액이면 고급 승용차 몇대를
사고
도 남을 정도다.그렇다고 태양전지자동차의 도로출현이 요원하다는 얘기는 아니다. 공해문제 국제원유 수급문제 등에 얽혀 가솔린자동차가 운행을 제한받게 되면 그 첫번째 대안으로 태양자동차가 떠오를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신경세포들이 작동하는 모습 그대로 컴퓨터를 설계했을 때 그 컴퓨터는 나와 똑같이
사고
하고 판단할 것인데, 내가 죽고나면 나의 영혼은 그 컴퓨터속에 불멸의 존재로 남을 것인가. 들어와보지 않고는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아무도 알 수 없는 지극히 사적인 '나'라는 자의식의 경험은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침강해 오래도록 유지되기 일쑤다. 우리나라 서해안의 경우가 그 유사한 예로 기름 유출
사고
후 수년이 지나도 개펄을 조금만 파들어가면 유출당시의 형태로 남아있는 석유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일단 유출된 석유는 해상에서 증발 분산 에멀션(emulsion)화 박테리아에 의한 생(生)분해 등의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목석 같은 사회, 과다한 경쟁, 심화돼가는 청소년 문제, 정에 굶주린 도시인-을 생각하면
사고
의 전환이 필요하다. 좌뇌의 인생에서 우뇌의 인생으로의 전환, 이것이 곧 현대를 슬기롭게 살아가는 지혜일 수 있다.좌우뇌의 전환 훈련은 손쉽게 할 수 있다. 평소에 호주머니나 핸드백에 메모지를 갖고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여러문제 등으로 새 KAAA의 탄생 의미는 퇴색하게됐다. 나중에 박동현 회장까지 교통
사고
로 유명을 달리했을 때, 회원들은 KAAA에 왜 그렇게 운이 따르지 않는가 하고 한탄하기도 했다.80년대 들어서자마자 대학에 아마추어 천문서클들이 탄생하기 시작했다. 1980년 서울대 아마추어 천문회가 결성된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불리는 새김나무를 장부로 이용했다. 두개의 나무작대기를 가지런히 두고서 서로
사고
판 만큼의 양을 나타내는 눈금을 두 막대기 위에 동시에 새겼다. 각 막대기는 상인과 손님이 따로 보관했다가 외상값을 계산한다든지 할 때 서로 맞추어 보았다. (그림4)는 그시대 상인의 장부책을 보여준다.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