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왓사켓, 왓랏차나다 같은 다른 사원도 많이 있어요. 왕궁이나 왓포, 왓아룬처럼 유명하진 않지만 나름의 독특한 매력이 있는 사원들이에요. 여유가 있다면 이런 사원들도 돌아다니면서 불교문화의 다양한 매력을 느껴보면 좋을 것 같아요.태국 여행을 마무리 짓고 돌아오며 아쉬운 마음이 많이 ... ...
- 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예측은 빗나갔다. 현재 서아프리카 전체 에볼라 환자는 2만 명을 넘지 않는다(2014년 12월 21일 기준). 일각에서는 ‘에볼라 사태’가 진정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세계적인 감염 통계학자 한스 로슬링은 이를 두고 “에볼라 바이러스와의 거친 ‘럭비’는 끝났고 ...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안전만 잘 지킨다면 의학적으로 좋은 경험이 될 겁니다.”그는 한국인 연구자로서의 사명감도 느끼고 있었다. “한국에도 바이러스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이 신약 개발 연구에 많이 뛰어들면 좋겠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 연구자들과 공동 연구를 ...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제, 3시간 내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항생제를 투입해 세포의 반응을 관찰하는 식이다. 서울대병원과 인천성모병원에서 189명의 균주를 얻어 시험 검사를 해봤는데,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성능 기준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권 교수는 “이 기술로 감염된 균을 치료할 항생제를 신속하게 처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 ...
- [과학뉴스]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 발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함시현 숙명여대 화학과 교수(아래 사진 왼쪽)와 임혜숙 이화여대 전자공학과 교수(가운데), 유향숙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명예연구 ... 년 마련됐다. 그동안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등 총 38명이 수상했다 ...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과연 출생성비가 정상 수준으로 내려온 이유는 무엇일까.지금까지 제시된 주된 설명은 다양한 이유로 남아선호가 줄었다는 것이다. 그 중에는 경제학적인 이유도 있다.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과거에는 아들, 특히 장남이 노후대책으로 중요했는데 여성의 지위가 개선되면서 딸을 ...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담배에 중독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실제로 미국 질병관리예방본부가 청소년 3만8000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흡연 청소년이 전자담배를 사용하면 성인이 됐을 때 하루 1갑 이상 담배를 피울 확률이 일반 흡연 청소년의 두 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WHO는 지난해 8월, 전자담배를 ... ...
- [Life & Tech] 한류스타가 내게 문자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마이돌이다. 시쳇말로 ‘대박’이 났다. 아이돌 인피니트의 잠금화면은 하루만에 3~4만 명이 다운로드 받았다. 정식 서비스를 출시하지도 않았는데, 한 달 사이 다운로드 건수가 200만에 달했다.그러나 문제가 있었다. 개발에는 성공했지만, 사업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던 것. 그 때 ...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들어올까 말까였습니다. 지금은 정원 30명 중 5명 정도가 여학생입니다. 특히 방사선 생명공학 분야에 관심이 큰 것 같습니다.Q 고동근(현대청운고) 원자로를 식히는 냉각재로 물 대신 나트륨과 같은 액체금속을 사용한다고 들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원자로에서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것이 ...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영향을 받고 살던 인간이 무중력 상태인 우주에 나가면 노화가 빠르게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우주에서는 체내 단백질과 칼슘이 1개월에 1% 꼴로 줄어든다. 만약 우주에서 1년을 머문다면, 뼈와 근육의 12%가 사라진다. 그만큼 늙는 것이다.“제가 운동도 규칙적으로 하고 먹기도 잘 먹었거든요.”내가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