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대학] 로켓, 키네틱아트, 인공위성 집중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조립해 제대로 날리는 것도 어려운데, 불모지에서 우주과학의 발전을 위해 헌신한 과학자들이 얼마나 힘들었을지 상상도 되지 않았죠. 로켓 팀 학생들은 다음 시간에 로켓을 직접 발사해 보기로 했어요. 과연 로켓 발사는 성공할까요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고요하게 누에고치에서 명주실 뽑기 조회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반갑소. 얼마 전에 길을 걸으며 스마트폰으로 과학 영상을 보고 있었는데, 눈앞에 서 있던 전봇대를 보지 못해 부딪힐 뻔 했소! 전봇대였기에 다행이지, 만약 찻길에서 자동차를 보지 못한 거였다면…, 아찔하소. 길을 걸을 땐 스마트폰은 잠시 꺼두소! 고요하게 누에고치에서 명주실 뽑기 /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혈소판, 지시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나 과학마녀 일리! 오랫동안 이어진 장마가 끝나고, 오랜만에 야외활동으로 하러 밖에 나왔어! 앗! 그런데 신난 나머지 뛰어놀다 넘어졌어. 무릎에서 피가 철철 흐르는데, 누가 좀 멈춰줘…! 혈소판(血小板) 우리 몸을 순환하는 혈액은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 등으로 이뤄져 있어요. 이 중 ... ...
- [한장의 과학] 차별이 담긴 천체 별칭 없앤다! NGC 2392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지난 5월 미국에서 백인 경찰이 비무장한 흑인 남성을 강압적으로 체포하다가 흑인 남성이 사망한 사건을 기억하나요? 이 사건은 미국을 넘어 전 세계적인 반인종차별 운동을 일으켰고, 다양한 방면에서 인종차별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어요.8월 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도 차별적인 ... ...
- 전국이 장맛비에 풍덩! 역대 최장 장마,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안녕, 난 집짓기 대장 비버야! 물가에 나뭇가지를 쌓아서 집을 만들고, 무너진 집도 금새 다시 복구시키는 베테랑이지. 올해는 8월 중순까지 이어진 역대급 장마에 전국 곳곳이 물에 잠기고 집이 무너지는 일이 많았어. 그래서 내가 구조를 위해 출동했지. 이 와중에 한강 위에 떠서 침수를 피한 편 ... ...
- [과학뉴스] 바다로 돌아간 흰고래, 리틀 화이트, 리틀 그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지난 4월 1일 자 특집에서 소개됐던 흰고래 리틀 화이트와 리틀 그레이를 기억하나요? 리틀 화이트와 리틀 그레이는 2011년, 러시아의 바닷가에서 잡혀 수족관으로 옮겨졌어요. 이듬해 해양생물을 가두는 것을 반대하는 영국 기업 ‘멀린 엔터테인먼트’가 수족관을 구매해 리틀 화이트와 리틀 그레 ... ...
- [과학뉴스] 태평양 살던 플랑크톤이 북극해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8월 4일,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북극해에서 주로 따뜻한 태평양에서 사는 동물성 플랑크톤 ‘유칼라누스 번지(Eucalanus bungii)’를 대량으로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발견된 개체수는 1m3당 평균 843마리로 북극해에서 발견된 양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죠. 연구팀은 2014~2016년 사이 북극해를 항해하며 여 ... ...
- [가상인터뷰] 세레스, 바다를 품고 있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받았어. 오카토르 크레이터 중앙에 유독 흰색으로 반짝반짝 빛나는 지역이 있었거든. 과학자들은 이 하얀 물질을 소금이라는 걸 알아냈지만, 왜 생겼는지 밝히진 못했어. 그런데 지난 8월 10일, 미국과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국제 연구팀은 이 하얀 물질은 소금 성분이라는 걸 밝혀냈고, ... ...
- [쇼킹 사이언스]마블 캐릭터 닮은 곤충이 있다?! 호주 신종 파리 5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시작을 의미해요. CSIRO의 브라이언 레서드 곤충 박사는 “호주에 사는 곤충 중 25%만이 과학적으로 알려져 있고, 종 이름이 붙었다”며 “종에 이름을 짓고, 그들을 구별할수록 자연과 사회에서 그들의 역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서 신종 발견의 가치를 말했답니다. *강모 : 뻣뻣한 털 ... ...
- 예술이 된 우주 │ 과학동아 천문대 소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긴 장마로 인해 구름이 없는 일부 지역에서만 관측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국내외 많은 과학관, 천문대에서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우주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소원을 빌기 위해 참여했습니다. 이번에 별똥별을 못 봐서 아쉽다고요? 그렇다면, 다가오는 12월 14일을 기억해 주세요! 3대 유성우 중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