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이용한다는 뜻의 유비쿼터스는 실제
공간
과 가상
공간
을 하나로 묶어 새로운 혁명을 예고하고 있다. 정보통신부는 최근 서울 광화문 한복판에 유비쿼터스 생활을 미리 맛볼 수 있는 전시관(유비쿼터스 드림관)을 열었다. 커피 날라주는 로봇과 외출복을 골라 주는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를 가능케 했다. 연료전지로 달리는 키와미는 미래형 세단. 차체를 최대한 낮추고 실내
공간
을 넓혀 승차감을 높였다.도요타 렉서스는 ‘럭셔리 디자인’을 표방하고 나섰다. ‘럭셔리 디자인’이란 사용자가 제품에 맞춰가는 것이 아니라 제품을 사용자 요구에 맞추는 새로운 설계 개념을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중력이 작용하는 지구에서는 사람이 뛰어 오르자마자 바닥으로 떨어지지만, 무중력
공간
에서는 사람을 바닥으로 끌어 내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주선 안에서 줄넘기를 하면 사람이 줄을 돌리는 힘에 대한 반작용으로 사람의 몸이 공중에서 거꾸로 돌아간다. 줄넘기를 하면서 거꾸로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창의적 연구진흥 사업의 지원을 받아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연구단을 이끌고 있다.어떤
공간
에 점이 여러 개 있다고 하자. 여기서 아무 점이나 두 개를 골라 수직이등분선을 그어 이 선분들을 연결하면 어떤 도형이 나타난다. 이것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다. 크기는 각양각색, 모양은 삐뚤삐뚤한 ... ...
수천개의 젊은 별들이 만들어낸 무서운 우주 독거미 타란툴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다리의 생김새는 거미 다리와 많이 닮아 있다.지구에서 17만 광년이나 떨어진 우주
공간
에 지름이 1000광년도 넘는 거대한 우주 거미가 살게 된 사연은 무엇일까.타란툴라라는 이름은 이탈리아 남부 도시 타란토에서 유래한다. 이탈리아에서는 1370년부터 이 거미에 물리면 타란티즘이란 병에 걸린다는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0년쯤 전, 소행성의 발견은 아마추어 관측가들에게 하나의 도전거리를 제공해 줬다. 우주
공간
에 소행성이 워낙 많았던데다 천문학적으로도 그리 중요하지 않았으므로 소행성은 대형 천문대에서 그다지 중요한 요소로 취급되지 않았다. 오히려 천문학 연구를 방해하는 골치 아픈 존재이기까지 했다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아직까지는 인공 구조체의 효율이 광합성의 10분의 1에 그친 정도다. 기술적으로 3차원
공간
배열이 어렵고, 분자 배열시 표면을 고르게 만드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는 빛 알갱이 하나를 에너지원으로 삼는 태양전지가 개발될 수 있습니다.” 김교수는 빛 알갱이 하나를 받아 전자를 ... ...
가상
공간
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시간과
공간
에 제한받지 않는 가상 디자인 작업 환경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사이버
공간
에 들어간 디자이너는 머리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쓴채 장갑형 입력장치를 끼고 움직이며 작품활동에 전념할 수 있다. 다른 디자이너와 사이버작업장에서 만나 공동 작업할 수도 있다. 이런 첨단 디자인 환경이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형상이다. 그렇다면 플라스크 속의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 여기에서는 액체로 채워진
공간
속에 기포인 별이 떠있다. 그리고 기포별이 빛을 내려면 플라스크 바깥에서 초음파를 때려야한다.‘음파발광’(sonoluminescence)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1933년 처음 발견됐으나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무엇을 의식화하고 무엇을 의식화하지 않을 것인가? 어쩌면 우리 뇌는 한정된 물리적
공간
에서 의식과 효율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놓고 고민하고 있는지도 모른다.현재 의식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뇌의 정보처리 과정 중 의식적으로 접근 가능한 정보와 그렇지 못한 정보의 신경학적 기전,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