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상"(으)로 총 4,0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영역이라고 한다(Deri et al., 2017). Sebastian Deri 등의 연구자들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파티에 나가는 횟수, 친구의 수, 다양한 사람들을 널리 아는 정도 (소셜 네트워크의 넓이), 다양한 그룹에 속한 정도 등 일반적으로 좋은 사회성의 척도라고 여겨지는 문항들에있어 자기 자신과 ‘내 ... ...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 여겨지는 패턴은 생각보다 흔치 않다는 보고가 있었다(약 10%). 205명의 기혼 커플을 대상으로 배우자와의 사별 전, 사별 후 18개월까지 추적한 연구에 의하면, 슬픔을 겪고 해소하는 과정이 사람마다 크게 다르며 일반적 형태 외에도 다양한 패턴이 나타난다고 한다(Bonanno et al., 2002). 1) 감정 변화가 ... ...
-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동아사이언스 l2017.12.17
- 거리와 차를 운전한 방법, 운전 기사를 활용한 방법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13명의 실험 대상자들은 운전 기사가 생기자 평균 76% 더 많은 거리를 주행했고, 평상시보다 밤에 더 많이 자동차를 사용했다. 또한 주행한 거리의 5분의 1에는 운전 기사를 제외한 사람이 아무도 타고 있지 않았다. 보통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줄 아는 의사와 그렇지 않은 의사가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의사들을 대상으로 가상의 심장 마비 환자를 치료하는 시뮬레이션을 하도록 했다. 환자의 정보를 주고 의사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약물 중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만한 적절한 약물을 고르도록 했다. 약물을 선택하고 나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많은 영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인슈타인의 뇌를 분석한 뒤 다이아몬드 교수는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자극이 풍부한 환경에서 교세포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나이가 든다고 증가하는 건 아니었다. 즉 아인슈타인은 죽을 때까지도 머리를 많이 썼기 때문에 교세포가 많았다는 ...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동아사이언스 l2017.11.19
- “EB는 여러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며, 이번 치료는 그 중 LAMB3 유전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것”이라며 “향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와 같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모든 유전자를 조작한 치료법이 나오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사이언스 지식IN] 연초형 일반 담배 VS 궐련형 전자담배, 건강은요?동아사이언스 l2017.11.15
- 자리잡고 있다. - GIB 제공 2015년 한국소비자원이 당시 시중에 판매하는 25종 전자담배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는데요. 중독을 일으키는 니코틴은 연초 담배(한개비당 0.33mg)보다 1.1배에서 최대 2.6배 높게 나타난 것이 확인됐습니다. 다만 액상형 담배는 담배애호가가 직접 제조할 수도 있기때문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보건사회복지부 제공 싱가포르와 대만의 공동연구자들은 먼저 대만의 간암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암세포의 전체 엑솜(게놈에서 유전자가 있는 부위)을 분석해 이 가운데 76명(78%)의 암 관련 유전자에서 AA가 일으킨 돌연변이를 발견했다. 그 뒤 네트워크를 동원해 세계 각국의 간암 환자 1400명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2017.10.31
- 쩔쩔매는 우리나라에서도 쓰지 않는 걸까. 사실 미국에서는 2000년대 초 이미 사람을 대상으로 소규모 임상을 진행했고 그 결과 진짜 혈액과 비교해 문제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혹시 모를 위험성을 우려해 미 식품의약품안전처(FDA)가 추가 임상을 금지시켰다. 이를 둘러싸고 임상을 추진한 미 ... ...
-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과학동아 l2017.10.30
-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 게놈 연구팀은 아프리카 대륙에 사는 2092명을 대상으로 팔 안쪽 피부의 빛 반사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 동아프리카의 나일로-사하라 언어를 쓰는 민족의 피부가 가장 검고, 남아프리카 산(San) 족의 피부가 가장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중 1593명의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